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3

개차산과 죽산

조회 수 871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개차산과 죽산

경기도 안성 이죽면의 옛이름은 ‘개산’ 또는 ‘개차산’이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개산군은 본래 고구려 개차산군이었는데 경덕왕 때 이름을 바꾸었으며, 고려 때는 죽산(竹山)이라고 불렀다. 흥미로운 사실은 죽산의 옛이름으로 ‘개차’라는 말이 존재했다는 점이다.

‘개차’라는 말은 본래 ‘임금’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는 행주(幸州)의 옛이름인 ‘개백’에서도 확인된다. 행주는 본디 고구려 개백현(皆伯縣)이었는데 우왕현(遇王縣)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행주로 바뀐 땅이름이다. 이 ‘개백’은 한자 ‘왕’(王)과 대응되며, ‘개차’(옛음은 ‘가이지’)는 ‘대’[죽]와 대응된다. 땅이름 표기는 토박이말 단어의 첫음절을 한자음으로 쓰거나 그 말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아 맞옮긴다. 이런 원리에 따라 ‘개백’을 ‘왕’으로 옮겼고, ‘개차’는 ‘대’로 옮긴 셈이다. 한자 ‘대’는 큰 것뿐만 아니라 왕과도 관련이 있다.

중국 역사서인 <주서> 이역전 백제조에는 “왕의 성은 부여씨로 어라하라 불렀으며, 백성들은 건길지라 불렀는데, 중국말로는 왕이란 뜻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여기에 나타나는 ‘건길지’는 ‘건’과 ‘길지’로 이루어진 말이다. ‘건’은 몽골어 ‘칸’에 해당하며, ‘길지’는 ‘개차’와 마찬가지로 임금에 해당한다.

‘개차산’이 ‘죽산’이 된 것은 토박이말이 한자말로 바뀌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 뿐 한자가 뜻하는 ‘대나무’와는 무관하다. 이처럼 땅이름 변화에는 우리말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경우가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94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63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057
3300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485
3299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7001
3298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062
3297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119
3296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214
3295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671
3294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195
3293 너도밤나무 바람의종 2008.01.22 6554
3292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0883
3291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053
3290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018
3289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7907
3288 개양귀비 바람의종 2008.01.25 7107
3287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419
3286 형제자매 바람의종 2008.01.26 11001
3285 자욱길 바람의종 2008.01.26 11440
3284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047
»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718
3282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8979
3281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7846
3280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6886
3279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66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