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34

토끼

조회 수 793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토끼

짐승이름

“흰 이슬 비꼈는데 밝은 달 돋아온다/ 봉황루 묘연하니 청광은 뉘를 줄꼬/ 옥토(玉兎)의 찧는 약을 호객(豪客)에게 먹이고자.”

고산 윤선도의 시조에 나오는 토끼. 옥토끼는 달에 살면서 떡방아를 찧거나 불사약을 만든다고 믿고 있다. 이처럼 토끼는 장생불사의 상징 동물로 여겨졌다. 그 민첩함으로 심부름꾼으로 나서는 일이 더러 있다. 경북 문경에 토천(兎遷)이란 곳이 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이 길을 잃고 헤맬 때 토끼가 나타나 절벽 길을 안내하였다고 한다. 문경에 ‘왕건’ 드라마 촬영장이 마련된 것도 우연은 아니겠다. “거부긔 터리와 톳기의 쁠와”(龜毛兎角, 두시언해)에서는 토끼를 ‘톳기’라 적었다. ‘톳’에 접미사 ‘-기’가 붙어 된 말로 볼 수 있다.

중국어에서는 토끼를 토자(兎子)라 한다. 여기 -자(子)는 작다는 뜻을 중심으로 하는 지소사로 보인다. -자(子)가 흔히 우리말로 토착하는 과정에서 ‘-지’로 바뀌어 쓰인다. 이르자면 가지(茄子), 종지(鍾子), 장지(障子)의 ‘-지’와 같다. 이 ‘-지’가 다시 소리 유창성을 꾀하려는 부정회귀를 통하여 ‘-기’로 바뀐 것으로 본다.

몽골말로는 ‘톨아이’(tulai)인데 말의 뿌리는 ‘톨-’이 된다. 받침소리에서 유연성을 보면 ‘톨-톧-톳’으로 유추할 수 있다. 한자어 어원으로 보는 견해보다는 알타이말 계통으로 보아 몽골말과 궤를 함께하는 우리말일 개연성이 더 높겠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61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2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7525
2948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71
2947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09
2946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35
2945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01
2944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27
2943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55
2942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17
2941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27
2940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04
293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45
2938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47
»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7931
2936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896
2935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078
2934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33
2933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26
2932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25
2931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44
2930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49
2929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25
2928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78
2927 바람의종 2008.11.01 71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