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2 16:03

한 두름, 한 손

조회 수 10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두름, 한 손

받고 싶은 추석 선물 1위로 한우가 꼽혔다고 한다. 부동의 1위였던 현금은 2위로 밀렸다. 한우 값 폭등이 원인이라는 분석 기사를 보면서 주머니 사정 생각하니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한우에 밀리긴 했지만 굴비도 예나 지금이나 최고급 선물에 속한다. 굴비는 아직도 새끼로 엮어 파는 전통이 남아 있다. 조기 같은 생선을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 즉 20마리를 한 두름이라고 한다. 오징어도 20마리를 묶어 파는데 이를 ‘축’이라고 한다. 북어 스무 마리를 묶은 것은 ‘쾌’이다. 유독 스물을 나타내는 단위가 많다. 한약 스무 첩은 한 제이다.

‘고등어 한 손’하면 고등어 두 마리를 말한다. ‘손’은 한 손에 잡을만한 분량을 나타내는 말로 조기, 고등어, 배추 등의 한 손은 큰 것 하나와 작은 것 하나를 합한 것을 이른다. 미나리나 파 등의 한 손은 한 줌 분량을 말한다. 참 정겨운 표현이다. 그릇 열 개는 한 죽이다. 옷 열 벌도 ‘죽’이라고 한다. 버선 한 죽(열 켤레), 접시 한 죽과 같이 쓴다. 흔히 서로 뜻이 잘 맞을 때 ‘죽이 잘 맞다’ 고 하는데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 접은 채소나 과일 100개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예전에 우리 어머니는 배추 두 접씩 김장을 하곤 하셨는데 요즘 배추 200포기 김장하는 집이 얼마나 될까 싶다. 마늘, 곶감 등도 접을 쓴다. 오이, 가지 등을 셀 때에는 ‘거리’를 쓰기도 한다. 한 거리는 50개이다. 김을 묶어 세는 단위는 ‘톳’이다. 김 한 톳은 백 장이다.

선물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처럼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말도 많다. 단위를 나타내는 말들이 특히 그렇다. 추석을 앞두니 이런 말들이 멀어져 가는 게 더 아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1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67
48 상석 風文 2023.12.05 1024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207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209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965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870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943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869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983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27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003
38 ‘~스런’ 風文 2023.12.29 1070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050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963
3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088
»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008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954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979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154
3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08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01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136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1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