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33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14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82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2946
338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176
3387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625
3386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636
3385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7908
3384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2795
»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339
3382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723
3381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150
3380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5984
3379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6839
3378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484
3377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061
337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7846
337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504
3374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176
337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589
337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778
3371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120
3370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537
3369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7968
3368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153
3367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