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18

씀바귀

조회 수 760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씀바귀

봄나물이 한창이다. 씀바귀는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 오자 ~’라는 노랫말에서도 보듯 봄에 나는 대표적인 나물이다. 농가월령가 2월령에도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잇국은 입맛을 돋우나니 …” 하는 구절이 나온다.

씀바귀는 잎새와 뿌리에서 나오는 하얀 즙이 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씸배나물/ 씬나물’, 한자말로 ‘고채’(苦菜)도 마찬가지 뜻이다. 들과 산에 흔한 씀바귀는 ‘흰씀바귀/ 꽃씀바귀/ 산씀바귀/ 모래씀바귀/ 벋음씀바귀 …’들처럼 종류도 많다. 씀바귀는 입맛을 돋우고, 춘곤증을 이겨낼 수 있으며, 봄에 씀바귀를 먹으면 여름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예부터 내려오는 ‘나물노래’도 재미있다. “한푼두푼 돈나물, 쑥쑥뽑아 나싱개(냉이), 잡아뜯어 꽃따지, 영꾸부정 활나물, 매끈매끈 기름나물, 칭칭감아 감돌래, 이산저산 번개나물, 머리끝에 댕기나물, 뱅뱅도는 돌개나물, 말라죽기냐 고사리 ….” 아흔아홉 가지 나물노래를 부를 줄 알면 삼년 가뭄도 이겨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나물은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먹거리였는데, 지금은 배부른 ‘웰빙’의 방편으로나 나물을 대한다.

요즘 지구가 더워진다는 온난화 걱정을 많이 한다. 소만(小滿: 음력 4월)에야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 절기라고 하였는데, 그런 걱정의 징표인지 요즘은 그보다 훨씬 일찍 씀바귀가 나오고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씀바귀 : 학명 - Ixeris dentata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 산과 들
크기 높이 - 25∼50c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0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74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2159
3256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402
3255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308
3254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324
3253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148
3252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524
3251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590
3250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634
3249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142
3248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304
3247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637
3246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7943
3245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608
3244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175
3243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9901
3242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351
3241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358
3240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7832
323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606
3238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6926
»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600
3236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8884
3235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2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