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6 09:55

쓰봉

조회 수 10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쓰봉

권대웅의 시 ‘쓰봉 속 십만 원’은 ‘벗어놓은 쓰봉 속주머니에 십만 원이 있다’로 시작한다. 갑자기 입원을 하게 된 노모가 집에 두고 온 당신의 전 재산을 자식들이 모르고 지나칠까 봐 일러주는 말이다.

‘쓰봉’은 바지를 뜻하는 일본말로 일제 시대에 들어와 1970년대까지 널리 쓰였다. 국어순화 운동에 힘입어 ‘와리바시(나무젓가락), 벤또(도시락), 다마네기(양파)’ 등과 함께 이제는 우리말에서 사라져버린 말이다. 중장년 세대는 대부분 알고 있는 말이지만 젊은이들에게 ‘쓰봉’은 낯선 말이다.

그런데 최근에 젊은 주부들이 ‘쓰봉’이란 말을 쓰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미 사라져버린 말이, 그것도 어렵게 쫓아낸 일본어 외래어가 다시 들어와 사용되고 있다니 놀랄 일이었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것은 바지와는 전혀 상관없는, ‘쓰레기봉투’를 줄여 이르는 새말이었다. ‘생일선물’을 ‘생선’으로 ‘생일파티’는 ‘생파’로 줄이는 등, 빠른 소통을 위해 가능하면 줄여 쓰는 젊은이들의 언어 습관이 새롭게 ‘쓰봉’을 탄생시킨 거였다.

이쯤 되니 재미난 상상이 떠올랐다. 위의 시에서 어머니가 손주들에게 ‘쓰봉 속 십만 원’ 얘기를 했더라면 어땠을까. 아마도 손주들은 안방에 벗어놓은 할머니 바지를 뒤지는 대신 부엌에서 쓰레기봉투를 뒤집어 보며 할머니가 두고 가신 돈을 찾고 있었을 것이다.

말은 끊임없이 변하므로 세대 간 언어 차이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또한 줄임말은 언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게 하고, 그 말을 아는 사람들끼리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줄여 쓰기를 통해 무분별하게 만들어내는 새말은 세대 간 불통을 부추길 수도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4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175
3304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070
3303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070
3302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072
3301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073
3300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074
3299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076
3298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079
3297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082
3296 순직 風文 2022.02.01 1083
3295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083
3294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086
3293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087
3292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087
3291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088
3290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091
328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092
328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094
328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094
3286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094
3285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096
3284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098
3283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0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