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8.03 02:40

허버지게

조회 수 854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버지게

고장말

진리지꼿(진달래꽃)이 허버지게 펫더고만!

‘허버지게’는 표준어 ‘굉장히’와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허버지게’와 뜻이 같은 ‘겁나’와 ‘겁나게’가 전남·북에서 두루 쓰는 반면에, ‘허버지게’는 주로 전남에서 쓴다. ‘겁나게’와 마찬가지로, ‘아주 많다’는 뜻의 형용사 ‘허버지다’의 어근 ‘허버지-’와 어미 ‘-게’가 결합된 것으로 보이나, ‘허버지다’는 이 지역에서 실제 쓰이는 말이 아니다. ‘허버지다’는 표준어 ‘흐벅지다’(탐스럽게 두툼하고 부드럽다)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엇지녁이넌 비가 허버지게 왔쌓더만 오널은 해가 쨍쨍하게 났구만.” 또한 ‘허버지게’의 ‘허버’가 부사로 쓰여 ‘아주’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어따 물괴기럴 허버 많이 잡았네야잉.”

‘허버지게’와 같은 뜻을 갖는 고장말은 ‘허벌나게’인데, 전남·북에서 두루 쓰인다. ‘허벌나게’도 ‘허벌나-’와 ‘-게’가 결합된 것으로 보이나, ‘허벌나다’ 또한 실제 쓰이는 말은 아니다. “하여간 그 녀석들을 잡아다가 귀싸대기부터 허벌나게 올려붙여놓고, 닦달을 해도 할랑게 염려 말소.”(<당제> 송기숙) ‘허벌나게’의 ‘허벌’은 표준어 ‘허발하다’의 ‘허발’(몹시 굶주려 있거나 궁하여 체면 없이 함부로 먹거나 덤빔)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런 사실은 ‘허벌나게’와 동사 ‘먹다’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허벌나게 묵었드니만 배가 겁나게 불러.”

‘허버지게’와 ‘허벌나게’ 모두 윗사람과 말할 때는 잘 쓰지 않는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07
1830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38
1829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43
1828 누리마루, 나래마루. 바람의종 2009.11.15 8447
1827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450
1826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55
1825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55
1824 비후까스 바람의종 2008.02.13 8457
18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62
1822 아슴찮아라, 참! file 바람의종 2010.05.09 8465
1821 멘트 바람의종 2010.02.15 8469
1820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69
1819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470
1818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474
1817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480
1816 들여마시다 바람의종 2010.01.28 8484
1815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486
1814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488
1813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89
1812 넋두리 風磬 2006.10.30 8489
181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90
1810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493
1809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4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