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45

게르만 말겨레

조회 수 850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게르만 말겨레

유럽 쪽 말겨레 가운데 역사가 오래고 그 분포가 넓은 것에 게르만 말겨레가 있다. 독일말이 게르만 말겨레에 드는 대표적인 말이다. 이 게르만 말겨레는 다시 몇 갈래로 나뉜다.

발트해 북쪽에서 게르만 말겨레에 드는 말에는 고대 아이슬란드말에서 내려온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스웨덴말·노르웨이말·덴마크말이 있다. 이들은 저마다 자기 말을 해도 서로 의사소통이 될 정도로 비슷하다. 다만 이웃한 핀란드말은 이들과는 전혀 다른 우랄 말겨레에 속한다.

발트해 남쪽에 있는 게르만 말겨레는 역사적으로 다시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독일말로 발전한 높은 지대 게르만말이고, 다른 하나는 낮은 지대 게르만말로 그 일부가 영어와 네덜란드말로 발전하였다.

영어를 기준으로 게르만 말겨레의 친족 관계를 비유해서 살펴보자. 우선 영어는 네덜란드말과는 형제쯤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독일말과는 사촌 정도로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들과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스웨덴말·노르웨이말·덴마크말과는 재종쯤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삼종(팔촌)도 생각해 본다면, 라틴 말겨레에 드는 프랑스말과 스페인말, 슬라브 말겨레에 드는 러시아말, 그리고 그리스말 따위가 될 것이다.

영어는 프랑스말에서 수많은 낱말을 가져왔기에 겉으로는 프랑스말과 같은 말겨레처럼 보이지만, 역사적으로나 문법적으로는 독일말과 같이 게르만 말겨레에 든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61
1874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361
1873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62
1872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5
1871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366
187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66
1869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369
1868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69
1867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69
1866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74
1865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5
1864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76
1863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76
1862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79
1861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81
1860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85
1859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388
1858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392
1857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94
1856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396
1855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399
1854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399
1853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