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4 20:00

찰나

조회 수 6701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찰나

급작스레 벌어진 일을 설명할 때 흔히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고 한다. ‘순식’은 아주 작은 수다. 그냥 막연히 작은 수가 아니라 10의 17제곱 분의 1이다. 얼마나 작은 수인지 잘 짐작이 되지 않는다.

“찰나의 가을, 올 유난히 짧아 겨울 일찍 온다” 일간지 기사 제목이다. 짧은 가을에다 ‘찰나’라는 말을 썼다. ‘찰나’는 ‘순식’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작은 수다.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소수점 이하의 단위는 분(分)·이(厘)·모(毛)·사(絲) 정도다. 야구 선수들의 타율을 계산할 때도 이(厘)까지다.

하지만 일상 생활에 쓰이건 않건 10의 21제곱분의 1까지 단위가 매겨져 있다. 그 단위들을 차례대로 훑어보자. 분·이·모, 사 다음에 홀(忽)·미(微)·섬(纖)·사(沙)·진(塵)·애(埃)·묘(渺)·막(漠)·모호(模糊)·준순(逡巡)·수유(須臾)·순식(瞬息)·탄지(彈指)·찰나(刹那)·육덕(六德)·허공(虛空)·청정(淸淨) 순이다. 마지막 ‘청정’은 아라비아숫자로 쓰면 소수점 밑에 ‘0’이 무려 스물이나 붙고 ‘1’이 나오는 상상할 수조차 없는 작은 숫자다.

이들은 아주 짧은 시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는 약간 막연히 ‘눈 깜짝 할 사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수유’는 문학 작품 같은 데서 어렵잖게 만날 수 있고, ‘순식’은 ‘순식간’ 또는 ‘순간’으로 널리 쓰인다. ‘탄지’는 잘 쓰이지 않지만, ‘찰나’는 범어(Ksana)에서 온 말로서 ‘순식간’과 함께 ‘아주 짧은 시간’이라는 뜻으로 흔히 쓰인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87
1918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595
1917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45
1916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4
1915 올인 바람의종 2008.04.29 7416
1914 육개장 바람의종 2008.04.28 5939
1913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00
1912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바람의종 2008.04.26 6994
1911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5
1910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24
1909 두사부일체 (일체/일절) 바람의종 2008.04.23 7751
1908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811
1907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781
1906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78
1905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49
1904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68
1903 률과 율 바람의종 2008.04.16 8432
1902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0
1901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65
1900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31
»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701
1898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74
1897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