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1 02:04

다믈사리·막생

조회 수 806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믈사리·막생

사람이름

성종 25년(1494년), 사헌부에서 정호(鄭灝)의 첩인 ‘다믈사리’와 가까이 지냈다며 국문하니 월성군 이철견(李鐵堅)은 마음이 편치 않다며 벼슬자리를 떠나고자 하였다. 월성군은 자신이 다믈사리와 먼저 가까이 지냈고 나중에 정호가 데리고 살았다고 했으나 국문 과정에서 아닌 것으로 드러나 파직되었다.

다믈사리는 ‘다므사리’로도 불렸다. ‘-사리’(沙里)로 끝나는 이름에 눈사리·더부사리·들사리·빙사리·풍사리·험사리 …들이 있다. 중세 말 ‘다므사리’(다믈사리)는 고용살이를 이르는데, 뒷시대로 오면서 드사리(들살이), 더부사리(더부살이)로 바뀌었다. 사람이름에 쓰인 ‘가사리’는 돌고래의 새끼, 죽사리는 죽살이 곧, 생사를 가리킨다. 방언에서는 ‘죽살이(=죽도록) 고생만 했다’로도 쓴다. 간사리·앙사리는 간살스럽다·앙살스럽다는 말에서 왔다.

‘-사리’의 한자에 해당하는 말 ‘생’(生) 또한 이름접미사로 쓰였는데, 갈음생·검생·곰생·귀생·돌생·막생·말생·약생·니생·애생·연생·줌생·효생이 따위가 있다. 이름접미사 ‘-산’은 산봉우리 또는 산다는 뜻으로 쓰이는 듯하다. ‘어렵산이’란 이름에는 ‘어렵게 산 이’라는 ‘뜻맛’이 배어 있다. 가지산·곰산·귀산·금산·길산·긋산·논산·늦산·돌산·막산·말산·멍산·범산·울음산·은산·잣산이 따위 이름이 있다.

‘다믈다’는 ‘입을 다물다’라는 말에 남아 있는데, 합친다는 뜻으로 쓰였다. 고구려 추모왕이 비류국을 차지하고 외친 ‘다믈’(多勿)은 옛 땅을 되찾겠다, 옛 조선 땅을 ‘합치겠다’는 말이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48
1984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21
1983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21
1982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22
1981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3
1980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23
1979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6
1978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26
197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29
1976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30
1975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32
197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3
197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35
1972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41
1971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44
1970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45
1969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48
1968 칠칠하다 바람의종 2007.03.29 8149
1967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49
1966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49
1965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50
1964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3
1963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