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23

릉, 능

조회 수 881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릉, 능


인기리에 방영되던 드라마 '장희빈'이 막을 내렸다. 장희빈은 궁녀에서 왕비의 자리까지 올랐다가, 취선당 서쪽에 신당을 차려놓고 인현왕후를 저주한 일이 발각돼 결국 사약을 받은 인물이다. 혹자는 왕권 강화에 대한 숙종의 강력한 의지와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정략적으로 죽임을 당했다는 설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 희빈 장씨의 묘가 서오릉 후미진 곳에 있다. 서울 근방에도 '릉'이 들어간 지역이 여럿 있는데, '서오능·서삼능'등으로 돼 있는 것을 가끔 볼 수 있다.

간혹 버스 안내표지판에도 그렇게 쓰여 있지만 표기는 '서오릉' '서삼릉'이 맞다. 여기에 쓰인 '무덤 릉(陵)'자는 단어의 첫 음절에 올 때엔 두음법칙에 의해 '능원' '능묘'처럼 첫소리를 'ㄴ'으로 쓴다. 하지만 둘째 음절 다음에 올 때는 'ㄹ'을 그대로 살려 '릉'으로 표기해야 맞다. '서오릉·정릉·태릉·서삼릉'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무덤에는 능·원·묘 등이 있다. 능은 일반적으로 왕과 왕비의 무덤을 말한다.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세손과 왕세손비 또는 왕의 생모인 빈(嬪)과 왕의 친아버지 무덤이다. 그 외에 빈ㆍ왕자ㆍ공주ㆍ옹주 등 왕족과 일반인의 무덤은 묘(墓)라고 한다. 희빈 장씨의 무덤도 살펴보면 능이 아니라 '대빈묘'로 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밖에 누구의 무덤인지 알지 못하지만 벽화나 유물 등 특징적인 것이 있는 경우 총(塚)이라 하고, 유물이 없고 주인공도 모르면 분(墳)이라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61
2072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53
2071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41
2070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56
2069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75
2068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399
2067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21
2066 린치, 신나, 섬머 바람의종 2008.10.29 7145
2065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7969
2064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14
2063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44
2062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41
2061 첩첩산중 바람의종 2008.10.26 10922
2060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79
2059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586
»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13
2057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410
2056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88
2055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03
2054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02
2053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49
2052 띄어스기 - "데" 바람의종 2008.10.23 11104
2051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