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31 13:19

끼여들기

조회 수 902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끼여들기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크게 줄고 있지만 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 등 사고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끼여들기'가 한몫 하고 있다. 잦은 '끼여들기'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지도 못하면서 사고 위험만 높이고 거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앞글에서처럼 '차가 옆 차선으로 무리하게 비집고 들어서는 일'을 '끼여들기'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끼어들기'로 써야 한다. '끼어들기'의 발음이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나기 때문에 '끼어들기'와 '끼여들기'가 섞여 쓰이는 것 같다. 더구나 예전의 국어사전들은 '끼어들다'와 '끼어들기'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끼이다(무리 가운데 섞이다)'와 '들다(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의 합성어로 보아 '끼이어들다→끼여들다' 형태로 판단해 '끼여들다'로 잘못 쓴 것 같다.

국립국어연구원은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란 뜻으로 '끼어들다'만을 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러므로 '끼어들다'의 어간 '끼어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어 '끼어들기'란 명사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날이 추워지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도로 사정도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때 잘못 '끼어들기'를 한다면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07
2094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31
2093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44
2092 'ㅣ'모음 역행동화 바람의종 2008.11.14 6930
2091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49
209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794
2089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32
2088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7981
2087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53
2086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577
2085 발자국 바람의종 2008.11.11 4511
2084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068
2083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01
208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149
2081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69
2080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09
2079 떼기, 뙈기 바람의종 2008.11.02 6975
2078 당기다, 댕기다, 땅기다 바람의종 2008.11.02 6423
2077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489
2076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75
2075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009
2074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5985
2073 결재, 결제 바람의종 2008.10.31 108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