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4:54

깍지다리

조회 수 705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깍지다리

‘깍지다리’는 보통 의자에 앉아서 한 다리를 다른 다리 위에 포개어 앉은 자세를 일컫는다.“

최창락이 의자에 깍지다리를 하고 앉아 권연(=궐련)을 피우고 있었다.”(장편소설, <청년전위> 1)

남녘에서는 이 자세를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 혹은 ‘다리를 포개고 앉은 자세’로 표현한다. 한 낱말로는 ‘꼰다리’, ‘포갠다리’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손가락을 깍지 낀 것처럼 다리를 깍지 끼었다고 보아서 ‘깍지다리’라고 표현하는 것도 괜찮겠다.

‘깍지’는 ‘활을 쏠 때 손가락에 끼는 기구’다. ‘깍지(를) 끼다’는 ‘깍지를 손가락에 끼다’와 ‘손가락을 엇갈리게 맞잡다’의 두 가지 의미로 쓰이다가 ‘손가락을 엇갈리게 맞잡다’는 의미가 일반화되었다. ‘깍지(를) 끼다’를 북녘에서는 ‘깍지다’로도 쓴다.

“씨름판에서 동수는 학철의 뒤잔등을 량팔로 걷어안자 두손을 깍지고서는 힘껏 그러안으며 안걸이를 써서 넘어뜨렸다.”

앉은 자세를 이르는 말은 주로 ‘다리’로 끝난다. ‘평다리’는 ‘바닥에 다리를 쭉 펴고 앉은 자세’다. ‘엄마다리, 누나다리’는 ‘엉덩이를 바닥에 붙이고 두 다리를 한쪽으로 가지런히 포개어 비스듬히 앉은 자세’다. ‘책상다리’는 ‘양반다리, 아빠다리’와 같은 뜻으로 ‘앉은뱅이책상’을 쓸 때 주로 하는 자세여서 붙은 이름이다. 일부 남쪽 국어사전에서는 ‘깍짓다리’로 올렸다. 북녘에서는 책상다리를 ‘올방자’라고 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535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190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060
    read more
  4. 이랑과 고랑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7265
    Read More
  5. 돌서덕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9478
    Read More
  6. 게르만 말겨레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8451
    Read More
  7. 노루귀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6544
    Read More
  8. 마개와 뚜껑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8177
    Read More
  9. 가닥덕대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7346
    Read More
  10. 라틴말의 후예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6888
    Read More
  11. 물과 땅이름

    Date2008.02.03 By바람의종 Views7964
    Read More
  12. 뚱딴지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076
    Read More
  13. 괴다와 사랑하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9682
    Read More
  14. 아프리카의 언어들

    Date2008.02.02 By바람의종 Views8866
    Read More
  1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991
    Read More
  16. 올림과 드림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436
    Read More
  17. 무릎노리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709
    Read More
  18. 아랍말과 히브리말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391
    Read More
  19. 별내와 비달홀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8726
    Read More
  20. 으악새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9803
    Read More
  21. 까닭과 때문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6909
    Read More
  22. 아시저녁·아시잠

    Date2008.01.31 By바람의종 Views7452
    Read More
  23. 중앙아시아 언어들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216
    Read More
  24. 한뫼-노고산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10261
    Read More
  25. 개불알꽃

    Date2008.01.30 By바람의종 Views916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