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20 14:21

올가을 첫눈 / 김치

조회 수 13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올가을 첫눈

개미 기어가는 소리가 들릴 듯 정적이 깔린 교실에 모깃소리 같은 탄성이 흘렀다. 시험지 뚫어지게 봐도 뾰족한 답이 떠오르지 않았을 누군가의 것이었을 것이다. ‘눈이다!’ 감독 교사는 무심히 창밖만 바라볼 뿐이었지만 십대 끄트머리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았다. ‘정말!’, ‘진짜…’, ‘아…’, 누가 먼저라 할 거 없이 여기저기서 외마디 소리가 흘러나왔다. 거기에 내 것도 섞여 있었다. ‘하필이면’ 대입 시험 치르는 날에 첫눈이 내린 것이다. 시커먼 남학생들이 그러했으니 같은 시각 창밖의 첫눈을 바라본 여학생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오래전 어느 해 11월24일, 대입 수험생으로 맞은 첫눈의 정경을 나는 그렇게 기억한다.

지난 월요일 서울에 첫눈이 내렸다. ‘그날’ 날리던 눈발과 달리 왕소금처럼 ‘멋대가리 없는’ 눈이 후드득후드득 떨어졌다. 그리 멀지 않은 하늘은 파랗게 터져 있는데 머리 위 하늘에서는 눈 내리니 ‘여우비’(볕이 나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가 떠올랐다. 그럼에도 첫눈은 첫눈이다. ‘첫 눈’이 아니라 첫눈. 그것도 ‘올 가을’ 아닌 올가을에 내린 첫눈이다. ‘올해의 준말’인 ‘올’이 붙은 ‘올가을’, ‘맨 처음의’ 뜻인 ‘첫’이 붙은 ‘첫눈’은 합성어로 붙여 쓴다.

띄어쓰기 한 것과 아닌 것의 차이가 대수일까. 그렇다, 소릿값이 달라진다. 두 낱말의 발음은 [올가을]과 [천눈:]이 아닌 [올까을]과 [천눈]이다. ‘올봄’, ‘올여름’, ‘올겨울’의 소릿값은 [올뽐], [올려름], [올껴울]이다. ‘봄눈’, ‘함박눈’, ‘싸락눈’, ‘소나기눈’(폭설), ‘숫눈’(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의 ‘-눈’은 장음 [눈:]이 아닌 단음으로 발음한다. ‘눈’(雪)의 본래 소릿값은 장음이지만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표준발음법 제6항) ‘첫눈’의 ‘눈’이 첫음절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짧게 [천눈]으로 발음하는 것이다.


………………………………………………………………………………………………………………
김치

새벽 방송을 마친 아나운서 몇이 식당에 둘러앉았다. 날마다 먹는 아침밥이지만 그날 식탁은 여느 날과 달랐다. 가지런히 펼쳐놓은 식판들 가운데 오도카니 놓여 있는 케이크 하나. 영문 모른 채 자리 잡은 동료가 머리 갸웃하자 새내기 아나운서가 빙긋 웃는다. 꼭두새벽 출근길에 폭죽과 초까지 챙겨 온 자신을 뿌듯해하는 듯했다. 옆에 있던 후배가 촛불 켜는 사이 앞자리에 있던 이는 폭죽을 터뜨렸다. 휑뎅그렁하던 구내식당이 해사한 웃음으로 가득 찬 느낌이었다. 뜻하지 않게 받은 과분한 생일상이었다. ‘생일상’의 백미는 적당히 익어 아삭한 김치였다. ‘리어카 빌려 손수 싣고 온 김치 50포기로 김장한 날 밤, 쌈김치 배불리 먹고 난 뒤 해산했다’는 어머니 말씀이 떠올라 더 맛있게 느껴졌을지 모른다. 거기에, 김장철 김치라 더 맛있게 느껴졌을 것이다.

김치의 갈래는 여럿이고 종류는 정확히 몇 개인지 알 수 없을 만큼 많다. 동치미·나박김치 같은 물김치가 있는가 하면 ‘봄에 새로 난 배추나 무 따위로 담근’ 햇김치, ‘봄철까지 먹을 수 있도록 젓갈을 넣지 아니하고 담근’ 늦김치처럼 때의 뜻을 담아 부르는 것이 있다. 배추·무·오이·파·부추·고들빼기는 기본이고 우거지·돌나물·두릅·고수에 이르기까지 김치 담그는 재료 또한 참으로 다양하다. 그릇도 다르다. 간장은 종지에 담듯이 김치는 보시기에 담는다. 오이 허리를 서너 갈래로 갈라 온갖 재료로 양념한 소를 박아 만들면 오이소박이, 무 따위를 나박나박 썰어 담그면 나박김치, 깍둑썰어 만들면 깍두기다. 덤불김치는 알뜰 살림의 본보기다. 무의 잎과 줄기, 또는 배추의 지스러기(골라내거나 잘라 내고 남은 나머지)로 담그기 때문이다. ‘알타리(무)김치’는 총각(무)김치의 잘못이고, ‘열무냉면’에서 보듯이 국물김치로 많이 담그는 열무는 ‘어린 무’다. 남자는 있는데 여자가 없는 김치도 있다. 무나 배추 한 가지로 담근 김치를 홀아비김치라 이르는데 ‘과부김치’는 없기 때문이다. 때는 바야흐로 김장철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3527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8181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196635
    read more
  4. 방방곡곡 / 명량

    Date2020.06.04 By風文 Views1315
    Read More
  5. 헤로인 / 슈퍼세이브

    Date2020.06.03 By風文 Views1439
    Read More
  6. 기림비 2 / 오른쪽

    Date2020.06.02 By風文 Views1427
    Read More
  7. 깻잎 / 기림비 1

    Date2020.06.01 By風文 Views1163
    Read More
  8. 아카시아 1, 2

    Date2020.05.31 By風文 Views1304
    Read More
  9. 매뉴얼 / 동통

    Date2020.05.30 By風文 Views1179
    Read More
  10. 하룻강아지 / 밥약

    Date2020.05.29 By風文 Views1354
    Read More
  11. 마라톤 / 자막교정기

    Date2020.05.28 By風文 Views1353
    Read More
  12. 교정, 교열 / 전공의

    Date2020.05.27 By風文 Views1165
    Read More
  13.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Date2020.05.26 By風文 Views1227
    Read More
  14. 꼬까울새 / 해독, 치유

    Date2020.05.25 By風文 Views1157
    Read More
  1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Date2020.05.24 By風文 Views1186
    Read More
  16. 청마 / 고명딸

    Date2020.05.23 By風文 Views1541
    Read More
  1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Date2020.05.22 By風文 Views1352
    Read More
  18. 튀르기예 / 뽁뽁이

    Date2020.05.21 By風文 Views1500
    Read More
  19. 올가을 첫눈 / 김치

    Date2020.05.20 By風文 Views1308
    Read More
  20. 되갚음 / 윤석열

    Date2020.05.19 By風文 Views1568
    Read More
  21. 빛깔 이름/ 염지

    Date2020.05.18 By風文 Views1595
    Read More
  22. 사수 / 십이십이

    Date2020.05.17 By風文 Views1254
    Read More
  23. 24시 / 지지지난

    Date2020.05.16 By風文 Views970
    Read More
  24.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Date2020.05.15 By風文 Views1198
    Read More
  25. -분, 카울

    Date2020.05.14 By風文 Views141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