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7 13:39

내레

조회 수 621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레

고장말

‘-레’는 앞에 연결된 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데, 주로 평안도·제주도에서 쓰인다. ‘-레’는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만 쓰인다는 점에서 표준어 ‘-가’에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조금 있으느꺼니 남자레 꼴을 한짐 지구 와서 하루밤만 자구 가갔다구 했디.” “십 넌 두구 한번두 씻딜 않구 지냈으느꺼니 그 냄새레 어떻갔소.”(<한국구전설화> 평북편·임석재) ‘-레’는 주어임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토 ‘-(이)라서’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라서>라>래>레)

평안 지역에서 ‘-가’ 대신 ‘-레’가 쓰인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제주 지역에서 ‘-레’가 쓰인다는 건 잘 알려지지 않았다. “내레 앙 갑니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레’가 평안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되는 것은 제주 쪽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두 지역 두루 ‘-레’가 ‘-래’로 실현되기도 하는데, 실제 말투에서 ‘-레’와 ‘-래’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레’의 또다른 형태는 ‘-라’인데, ‘-라’는 평안도와 가까운 황해 북부와 충남 태안·보령 등지에서 사용된다. “그 무이라(무가) 맛이 달디?” 다만, 충남 서해안 쪽에서는 자음 뒤에서 ‘-이라’가 쓰인다. “웬 일잉가아 허구 다아 볼 거 보구서 신방을 들어가 보닝깨, 아 워떤 눔이라 신부를 칼루 찔러서 방이 피가 잔뜩 있단 말여.”(위 책 충남편)

‘-라’ 또한 제주의 ‘-레’처럼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1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6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851
1190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194
1189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78
1188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895
1187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26
1186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39
1185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68
1184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82
118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12
»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13
1181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35
1180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877
117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13
1178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88
1177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30
1176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7954
1175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17
1174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29
1173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872
1172 동사, 형용사 바람의종 2008.09.30 6423
1171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9987
1170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82
1169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0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