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6 14:30

딜위·그믐딘이

조회 수 6995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딜위·그믐딘이

사람이름

세종 12년(1430년), 보덕이란 여인이 永珍衣(영진의)와 싸우다 발길에 뺨을 차여 이레 만에 애가 떨어지고, 사흘 뒤 숨졌다. 사람을 때려죽이면 마땅히 목을 졸라 죽여야(교형) 하나 다친 곳도 없는데 때려죽인 죄로 보기는 어려웠다. 이에 임금은 한 등급 내려 벌을 주라 일렀다.

珍의 소릿값은 중세에 ‘딘’이었고 땅이름에서는 ‘돌’을 적을 때도 썼다. 중세 때 ‘술위’는 수레인데 이름에서 車衣(차의)로 적었다. 衣(의)는 ‘의/위/이’를 적는다. 珍衣는 ‘딘의/딘위/딘이’에 가까운 ‘딜위’를 적은 것으로 보인다. 딜위는 요즘의 찔레다. 딜위가 든 사내이름에 딜위·딜위대·늦딜위 따위가 있다. 永珍衣는 ‘영딜위/길딜위’였을 것이다. 1207년의 <대승선종 조계산 수선사 중창기>에는 딜위금(珍衣琴)이란 여인이 후원했다고 나온다. 세종 때까지만 보이는 ‘딜위’를 ‘珍衣’로 적은 표기는 고려의 내림으로 보인다.

珍(진)이 이름접미사로 쓰일 때 사내이름에 귀딘·그믐딘·금딘·똥딘·말딘·을딘이, 계집이름에 곰딘이 있다. 그믐진·똥진이란 이름도 있다. ‘-진’(進/眞)이 든 사내이름에 감진·귿진·문진·복진·손진·솔진·앙진·이진이, 계집이름에 논진·막진·망진·벽진·옥진이 등이 있다. ‘-딘/진이’는 ‘디다/지다’(넘어지다, 짐을 지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말 ‘값지다·빚지다’는 중세 말에선 ‘귀하다·천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53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18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6741
3014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279
3013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288
3012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888
3011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00
3010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267
3009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58
3008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51
3007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46
3006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5997
3005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04
3004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33
3003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4969
3002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30
3001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03
3000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78
2999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091
299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131
2997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673
2996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18
2995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22
»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6995
2993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