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44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953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6982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13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14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173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7987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24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399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6948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772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371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778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865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050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54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25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839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074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13
»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44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19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01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7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