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9 12:44

장보고·논복

조회 수 871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보고·논복

사람이름

<삼국유사>에는 신라 때 아비 없이 아이를 낳은 홀어미 이야기가 있다. 경주 만선 뒷마을에 홀어미가 있었는데, 남편 없이 아이를 배었다. 태어나 열두 살이 되었는데도 말도 못하고 일어나지도 못해 蛇童(사동)이라 불렀다. 달리 蛇卜/蛇伏(사복), 蛇巴(사파)로도 불렸다고 한다. 장보고의 이름은 본디 弓福(궁복) 또는 弓巴(궁파)였다. 경주에 ‘너보’라는 곳이 있는데, 仍甫(잉보)로 적으며 <세종실록 지리지>를 보면 옛날에는 仍巴(잉파)로 적었다고 한다. 고대에 巴(파)의 소릿값은 ‘보’로, 蛇童(사동)은 ‘ㅂ.얌복/ㅂ.얌보’, 장보고는 ‘활복/활보’였다. 요즘 울보와 ‘울배기’가 함께 쓰이는 것과 같은 모습이다. 신라말에서 ‘복’ 또는 ‘보’는 아이(童)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복’(卜/福)은 조선 때도 이름접미사로 쓰였다. 복이·개복·귀복·귿복·금복·논복·늦복·니복·덕복·돌복·동복·막복·만복·박복·산복·쇠복·언복·엇복·년복·은복·이른복·잠복·진복 따위 사내이름과, 논복·늦복·덕복·도복·만복·알복·앙복·일복과 같은 계집이름이 있다. 사내·계집이름에 두루 쓰인 ‘애복이’는 ‘애보기’처럼도 느껴지니 애달프다.

고려 때 호적과 조선왕조실록에 巴只(파지)라는 말이 보이는데, ‘복이/보기’를 적는 것이다. <태종실록>에 앞 왕조(고려) 제도를 이어받아 잔심부름하는 사내아이를 보기(巴只), 안에서 소제하는 계집아이를 무수리(水賜伊)라 하는데, 이들이 드나들며 궁중 얘기를 바깥으로 퍼뜨리니 임금이 신경 쓰인다고 했다. 궁중말 ‘보기’는 신라말의 자취로 보인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3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060
3084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5
»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12
3082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16
3081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017
3080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05
3079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091
3078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04
3077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42
3076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44
3075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33
3074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20
3073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590
3072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190
3071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16
3070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15
306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01
3068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77
3067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47
3066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52
3065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37
3064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06
3063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