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7 13:18

굿

조회 수 789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굿

글자에 적힌 것만 참된 줄로 알던 역사학에서는 중국 글자를 빌려 써놓은 우리 겨레의 삶이 중국 따라 하기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땅밑에 파묻힌 삶의 자취를 찾고 이름없는 백성의 삶으로 눈길을 돌린 고고학·인류학·민속학이 일어나 살펴보니까 우리 겨레의 삶이 동아시아 문명을 밝히고 이끌어온 횃불이었음이 두루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자랑스런 지난날 우리 겨레 삶의 뿌리에 ‘굿’이 있고, 굿 한가운데 ‘서낭’이 있다.

굿은 사람이 서낭을 모시고 함께 어우러져 서로 주고받는 노릇이다. 사람과 서낭이 한자리에서 만나 뜻을 주고받으며 서로 사랑을 나누는 몸짓이 굿이다. 하느님은 아픔과 서러움에 시달려 울부짖는 사람의 바람을 언제 어디서나 귀담아 들으며 서낭을 보내어 어루만져 주지만 사람은 그런 서낭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지 못한다. 굿은 그런 사람에게 서낭을 보고 들을 수 있게 해준다.

굿의 임자는 하느님이고 서낭이지만 굿을 벌이는 노릇은 하느님이나 서낭이 몸소 하지 않아서 굿을 벌이는 몫을 ‘무당’이 맡는다. 무당은 사람과 서낭을 맺어주는 고리 노릇을 하며 굿을 다스린다. 무당이 서낭을 굿판으로 맞이하고, 사람의 바람을 서낭에게 올려주며, 서낭의 꾸짖음과 어루만짐을 사람에게 내려주고, 서낭과 사람이 서로를 주고받아 어우러지게 하며, 마침내 서낭을 본디 자리로 보내준다. 이런 굿이 지난날 하느님과 서낭을 믿으며 동아시아 문명을 이끌면서 살아온 우리 겨레 삶의 뿌리였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2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7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934
3236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641
» 굿 바람의종 2008.02.17 7897
3234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920
3233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472
3232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599
3231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10
3230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147
3229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166
3228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7937
3227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25
3226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562
3225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038
3224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701
3223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248
3222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059
3221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456
3220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743
3219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195
3218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326
3217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049
3216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763
3215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3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