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04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마미지’와 ‘강진’

‘고마미지’(古馬彌知)는 전남 강진의 옛 이름이다.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구미’가 ‘곶’과 같은 의미를 지녔음을 밝힌 바 있듯이, ‘고마미지’는 ‘구미’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마미지’ 이외에도 ‘송미지’(松彌知), ‘무동미지’(武冬彌知)가 더 나타난다. 최남선이 서문을 쓴 <동경통지>(東京通志)>에, ‘미지’는 바다의 물굽이가 처진 읍(灣邑)을 일컫는다고 하였다. ‘송미지’는 지금의 전북 고창이며, ‘무동미지’는 비안 북부(庇安北部·전북 군산)인데 ‘단밀현’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고려 공양왕 때 지금의 경남 통영을 ‘고성’이라 부른 적이 있다. 이 고성의 옛이름이 ‘고자미동’(古資彌冬)이다. ‘미지’의 옛 발음이 ‘미디’였음을 고려한다면, ‘미디’와 ‘미동’은 중국 한자음을 표기하는 과정에서 달라진 형태의 말임이 틀림없다. ‘미지’는 간혹 ‘미치’로 읽히기도 하였다. <동경통지>에서는 ‘고자미동’의 ‘고자’는 ‘구지’로 바뀔 수 있으며, ‘구지’는 ‘반도’(半島)의 뜻을 갖는다고 풀이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구지’, ‘구미’, ‘미지’, ‘미치’ 등은 모두 중국 한자음이 전래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토박이말 ‘곶’을 다양하게 표기한 것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전혀 무관해 보이는 말들이 어원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음을 땅이름에서 찾아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404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6971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12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297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192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345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891
»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40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21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367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34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26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51
3270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46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36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202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32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963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32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09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5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6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