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질문들

말은 입에 사는 도깨비다. 입을 열면 나타났다 닫으면 이내 사라지고,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난다. 상황에 따라 튀어나오는 말도 다르다. 하지만 문자는 말에 실체성과 형태를 덧입힌다. 옷을 입은 도깨비랄까. 문자와 표기의 체계는 말을 하나의 기계나 물건처럼 통일성을 갖는 실체로 만든다.

실체가 된 말은 규율이 되어 틀리면 불편해한다. 가끔 이런 이야기를 듣는다. “‘감사합니다, 축하합니다’면 충분한데, 왜 ‘감사드립니다, 축하드립니다’라고 하나? 이치에 안 맞는데도 국립국어원에서는 ‘관행’이란 이유로 허용했다”며 씁쓸해한다. 방송에서 들은 ‘말씀 주시면’이라는 말도 거슬린다고 한다. “‘꼼장어’가 표준어가 아니라고?” “‘쭈꾸미’랑 ‘오돌뼈’도 틀렸다고?” “뭐? ‘겁나게’가 사투리라고?” 항의한다.

단골 복사집에서 ‘제본 다 되었읍니다’라고 보내온 문자를 받으면 반갑다. 나는 사람마다 말에 대한 기억과 시간의 차이에서 오는 이런 어긋남과 겹침이 좋다. ‘돐’이란 말도 그립지 아니한가. 북한말 ‘닭알’은 달걀을 다시 보게 한다.

문득 의문이 든다. 무엇이 바른가. 바르게 쓴다는 건 뭘까. 과거와 현재가 단절보다는 겹치고 뒤섞이는 말글살이는 불가능할까. 왜 우리는 하루아침에 ‘돐’을 버리고 ‘돌’을 써야만 하는 구조에 살고 있을까. 나와 다르게 쓰거나 바뀌는 말에 왜 이토록 화를 낼까. ‘올바르게 말하기’에 지나친 강박증을 갖고 있지는 않은가. 나는 녹슨 양철문에 써놓은 ‘어름 있슴’을 보면 즐겁던데. 올바른 건 하나만 있는 게 아니다. 우리가 잡종이듯 말도 잡종이다.



정재환님께 답함

지난주엔 방송인이자 한글운동가인 정재환님께서 실명으로 “김지네씨, 잘 바써요”라는 재미난 댓글을 달았다. 헌신적인 한글운동가가 굳이 맞춤법을 어기며 쓴 것도 말걸기의 방식이다. 환영한다. 아마 ‘되었읍니다’, ‘돐’, ‘어름 있슴’에 대한 나의 과도한 포용주의와 과거지향적 정서, 또는 그간의 ‘언어자유주의적, 언어시장주의적’ 태도를 보고 내놓은 반응인 듯.

지난 칼럼은 말(표기법)의 잡종성을 가로막는 제도에 질문을 하자는 것이었다. 어제까지 썼던 철자가 하루아침에 바뀌고, 비표준어이니 쓰지 말라고 하다가 갑자기 오늘부터는 써도 된다는 과정 자체를 문제 삼자는 것이다.

이 문제의 뿌리는 한글맞춤법에 있다. 맞춤법은 언어적 근대의 산물이다. 민족어라는 단일한 언어질서를 만들기 위해 동일성을 강조하다 보니 다른 모든 정체성과 차이를 배제했다. 언어적 근대는 지역, 세대, 성별, 계급, 직업의 차이에 따른 말의 잡종성을 외면해야 가능하다. 표준어는 비표준어를 배제한다. 표준어 제정 권한을 국가나 엘리트들에게 집중시킨다. 지금도 똑같다.

언어적 근대를 넘어서자. 우리 시대는 말의 잡종성을 어떻게 전면화할지가 과제다. 일단 성문화된 맞춤법을 없애고 공통어의 결정권을 시민과 사회적 역량에 맡기자는 것이다. 맞춤법을 고치면 되지 않냐는 주장은 비본질적이다. 국가가 ‘이걸 표준어로 해줄까 말까’를 정하는 방식은 시대착오적이다.

한글운동 하시는 분들께 부탁한다. 말의 단일화보다 말의 다양화를 위해 더 애써 달라. 말은 구름 같아서 우여곡절을 겪을 뿐, 살고 죽는 문제는 아니다. 릴랙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2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7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906
3170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222
3169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223
3168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223
3167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24
3166 갑질 風文 2024.03.27 1225
3165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228
3164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228
»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229
3162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229
3161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231
3160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36
3159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239
3158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0
315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240
3156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241
315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43
3154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243
3153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244
3152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245
3151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47
3150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248
3149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2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