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1.19 06:52

찰라, 찰나, 억겁

조회 수 2046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찰라, 찰나, 억겁

불교는 우리 민족과 오랜 세월을 같이했다. 그래서인지 우리 문화에는 불교적 색채가 다양하게 녹아들어 있다. 언어 역시 불교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 게 많은데 그중 하나가 '찰나'와 '억겁'이다. '찰나'를 발음하기 어려워서인지(표준 발음은 [찰라]) "문을 열려는 찰라" "버스가 떠나려는 찬라"처럼 잘못 쓰는 예가 많다. '억겁' 역시 '겁'을 '겹'(면과 면, 선과 선이 그 수만큼 거듭됨을 나타내는 말)'으로 착각해 "억겹의 세월"과 같이 '억겹'으로 틀리게 쓰는 경우가 있다.

 '찰나'는 산스크리트어의 '크샤나'에서 온 말로 '생각이 스치는 한 순간처럼 짧다'는 의미다. 그 길이에 대해서는 손가락을 한 번 튕기는 사이 65찰나가 흐른다거나 1/75초에 해당한다는 등 많은 설이 있다.
 '겁'은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이 무한히 긴 시간' '하늘과 땅이 한 번 개벽한 때에서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이니 '억겁'은 얼마나 더 긴 시간을 의미하는지 짐작하기도 어렵다.
 '겁'은 '천년에 한 번 천상의 선녀가 지상으로 내려와 노니는데 그 옷자락이 바위에 닿아 큰 바위가 닳아 없어지는 기간'이라 비유적으로 말하기도 한다. 주위 사람들은 '억겁의 인연'을 통해 만났을 것이다. 찰나의 감정으로 억겁의 인연을 해하고 있는 건 아닌지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는 건 어떨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4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118
3370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754
3369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04
3368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661
»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465
3366 고수레 風磬 2006.09.18 20413
3365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401
3364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358
3363 옴쭉달싹, 옴짝달싹, 꼼짝달싹, 움쭉달싹 바람의종 2010.08.11 20298
3362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235
3361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215
3360 요, 오 風磬 2006.09.09 20081
3359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066
3358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17
3357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19936
3356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872
3355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798
3354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794
3353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19790
3352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757
3351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717
3350 기가 막히다 바람의종 2007.12.29 19683
3349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5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