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8 15:05

한소끔과 한 움큼

조회 수 11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소끔과 한 움큼

신혼 시절, 찌개라도 한번 끓이려면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너 댓 번은 했다.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맛이 우러난다.” “그건 팔팔 끓여야 되는 거야.” “한소금 끓으면 바로 건져내.” 불 조절이 요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때 다른 건 알겠는데 ‘한소금’이 얼마만큼인지는 정확하게 감이 오질 않았다. 어머니의 설명에 따르면 ‘거품이 한번 부르르 올라올 때까지’가 ‘한소금’이란다. 그런데 ‘한소금’을 사전에 찾으니 나오지 않는다. ‘한소쿰’ 혹은 ‘한소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소끔’이 표준어다.

‘한소끔’은 ‘한번 끓어오르는 모양’을 말한다. 조리법에서는 ‘새로운 재료를 넣은 뒤에 그 재료가 다시 한 번 끓을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밥이 한소끔 끓으면 불을 줄여야 한다’와 같이 쓸 수 있다. ‘한소끔’은 또 ‘일정한 정도로 한차례 진행되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다. ‘한소끔 잤다’라고 하면 ‘한숨 잤다’는 뜻이 된다. ‘한소끔 되게 앓았다’고 하면 ‘한차례 심하게 아팠다’는 뜻이다.

‘한 움큼’이라는 말도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이다. ‘움큼’의 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인지 ‘웅큼’이라고 쓰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움큼’은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아이가 과자를 한 움큼 집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근거는 없지만 ‘움켜쥘 만큼’이 줄어서 ‘움큼’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말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단어를 소리 내는 것만으로 신기하게도 모양이나 소리, 느낌까지 그대로 연상이 될 때다. ‘한소끔’과 ‘한 움큼’도 나에게는 그런 말 중의 하나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99
26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817
25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793
24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791
2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785
22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783
21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760
20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748
19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34
18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707
17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00
16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678
1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675
14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673
1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669
12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653
11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645
10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20
9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607
8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472
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432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370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