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1 18:59

‘부럽다’의 방언형

조회 수 9002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럽다’의 방언형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동네 사람들이 얼매나 불버라 하는지 아요?”에서처럼 형용사 ‘붋다'가 보인다. ‘불버라, 불버도’와 같이 쓰이는 이 말은 표준어 ‘부럽다’의 경남 방언이다. 〈한국방언자료집〉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면, 경기도를 중심으로 ‘부럽다’가 쓰이고, 충청 방언과 전라 방언을 중심으로는 ‘불거도, 불거워도’처럼 ‘붉다’가 쓰이며, 경상 방언에서는 ‘불버도’와 같이 ‘붋다'가, 동사로는 ‘불버하다’가 쓰인다.

역사적으로 옛 문헌에서는 형용사 ‘븗다'와 ‘부럽다’가 두루 보인다. 이는 동사로 ‘블다’(羨)가 쓰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형용사 ‘부럽다’는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형용사가 된 것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형용사 ‘불겁다’는 ‘불거워도, 불거뵌다’와 같이 쓰이는데, 이는 ‘붉다’에 다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짜인 것이다. 경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법다’는 ‘불버워도’와 같이 쓰이는데, 형용사 ‘붋다'에 다시 뒷가지 ‘-업’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붙은 ‘부럽다’가 표준어로 쓰이고, 동시에 전라 방언에서는 ‘붉-’이 주된 기본형으로, 경상 방언에서는 ‘붋-’이 기본형으로 쓰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말이 나누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독특하게 쓰이는 고장말의 다양성과 상관성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57
26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153
2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14
24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09
23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6971
22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37
21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431
20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652
19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847
18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9992
17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600
16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9887
1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0847
14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825
13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0945
12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660
11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9983
10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322
»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02
8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472
7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536
6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144
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