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2.01 09:39

말의 세대 차

조회 수 1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의 세대 차

말의 세대 차를 걱정하는 사람을 자주 만난다. ‘못 알아듣겠다.’ ‘이러다가 소통이 안 될까봐 걱정이다.’ ‘세대 차를 줄이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라고 말하기도 한다. 걱정도 팔자다. 노력하지 말라. 가끔은 뭘 하는 것보다 안 하는 게 나을 때가 있다. 세대 차를 줄이려는 노력은 허황되고 부질없다. 세대 차가 없는 말의 세계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노화 저지’(안티에이징)가 시대적 과제라지만, 가는 세월 그 누가 잡을 수가 있겠나.

기성세대는 버릇처럼 젊은이들의 말을 달가워하지 않지만, 줄임말이나 신조어가 젊은이들의 전유물이기만 한 건 아니다. 새로운 말은 세대를 불문하고 어디서든 만들어진다. 누가 쓰느냐에 따라 평가를 달리할 뿐이다. 공식어나 격식체를 쓰는 공간에서도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빈번하게 쓴다. 그런데 정치에 무심한 사람에게는 ‘외통위, 법사위, 과기정통부, 윤핵관’이 생소할 수밖에 없다. 국가재정사업에 무심하면 ‘예타 면제’란 말을 모른다. 입시에 무심하면 ‘학종, 사배자, 지균’이 뭔지 모른다. 시골 농부는 ‘법카’를 모른다(알아 뭐 할꼬). 어떤 사람들에겐 못 알아듣는 말인데도, 아무도 문제 삼지 않는다. 이 공간을 차지한 사람들에게 친숙한 말이면 ‘모두가 쓰는 말’로 가정한다. 그 공간 밖에 있는 사람들의 말만 불온시한다. 편파적이다.

우리는 모든 장소와 시간에 존재할 수 없다. 말은 장소성을 갖는다. 장소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말을 만들어낸다. 장소성을 갖지 않는, 장소성이 표시되지 않는, 중립적인 척하는 언어가 더 의심스럽다. 차이를 줄이기보다 차이를 밀어붙이자.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53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01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053
    read more
  4. 댄싱 나인 시즌 스리

    Date2023.04.21 By風文 Views1062
    Read More
  5. 막냇동생

    Date2023.04.20 By風文 Views999
    Read More
  6. 내연녀와 동거인

    Date2023.04.19 By風文 Views1143
    Read More
  7.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Date2023.04.18 By風文 Views1322
    Read More
  8.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Date2023.04.17 By風文 Views1383
    Read More
  9. 어쩌다 보니

    Date2023.04.14 By風文 Views1434
    Read More
  10. '김'의 예언

    Date2023.04.13 By風文 Views1168
    Read More
  11. “김”

    Date2023.03.06 By風文 Views1607
    Read More
  12. 울면서 말하기

    Date2023.03.01 By風文 Views1183
    Read More
  1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Date2023.02.27 By風文 Views1221
    Read More
  14. 남친과 남사친

    Date2023.02.13 By風文 Views1241
    Read More
  15. 국가의 목소리

    Date2023.02.06 By風文 Views1463
    Read More
  16. 말의 세대 차

    Date2023.02.01 By風文 Views1155
    Read More
  17. ‘통일’의 반대말

    Date2023.01.16 By風文 Views1647
    Read More
  18.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Date2023.01.09 By風文 Views1437
    Read More
  19. '바치다'와 '받치다'

    Date2023.01.04 By風文 Views1279
    Read More
  20. 말하는 입

    Date2023.01.03 By風文 Views1223
    Read More
  21. ○○노조

    Date2022.12.26 By風文 Views1284
    Read More
  22. 구경꾼의 말

    Date2022.12.19 By風文 Views1244
    Read More
  23.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Date2022.12.12 By風文 Views1692
    Read More
  24.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Date2022.12.07 By風文 Views1827
    Read More
  2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Date2022.12.06 By風文 Views132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