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8 13:13

막바로

조회 수 807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바로

같거나 유사한 형태가 겹쳐 만들어진 합성어를 ‘첩어’, 또는 ‘반복 합성어’라 한다. 이런 첩어에는 ‘꼭꼭’ ‘바로바로’, ‘차츰차츰’처럼 완전히 동일한 꼴이 반복된 짜임이 있는가 하면, ‘머나멀다’, ‘좁디좁다’처럼 형태의 일부가 다른 것도 있다. 단독으로 쓰일 때보다 겹짜이면 그 의미가 뚜렷해지거나 강조되는 특징을 지닌다.

한편, 첩어는 아니지만 비슷한 의미를 지닌 형태가 반복되어 그 의미가 더욱 뚜렷해지는 합성어도 있다. ‘곧바로’, ‘막바로’ 등이 그것인데, ‘곧바로’는 큰사전에 올랐지만 ‘막바로’는 찾아볼 수 없다.

“여주에는 당도하였지만, 남의 눈도 있고 하여 막바로 창골에 들어갈 수는 없었다.”(황석영 <장길산>)
“하지만 이번에도 … 의견을 물어 본다거나 하는 일 없이, 막바로 통고와 다름없는 방식을 취했다.”(최일남 <누님의 겨울>)
“그러자 … 태인댁의 시선이 막바로 부월이한테 돌려졌다.”(윤흥길 <완장>)

‘막바로’는 ‘(지체 없이) 지금’의 뜻을 지닌 ‘막’과 ‘그 즉시’의 뜻을 지닌 ‘바로’가 합쳐서 만들어진 말이다. ‘막’과 ‘바로’의 비슷한 의미가 반복되면서 ‘막’이나 ‘바로’가 단독으로 쓰일 때보다 ‘강조’된 뜻이 생기게 되었고, 더불어 이와 유사한 다른 의미도 더 생기게 되었다. 그 결과 ‘막바로’는 ‘바로 그 즉시에’, ‘다른 곳을 거치거나 들르지 아니하고’, ‘멀지 아니한 바로 가까이에’의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6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11
92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375
91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539
90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0993
89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846
88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452
87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147
86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623
85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157
84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6733
83 꽈리 바람의종 2007.12.30 10583
82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7.12.29 7069
81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189
80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001
»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078
78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357
77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452
76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777
75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388
74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160
73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705
72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576
71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6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