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57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54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19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6858
28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067
285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117
284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065
28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8983
282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5974
281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400
»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573
279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161
278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015
277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774
276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861
275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6949
274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759
273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6863
272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667
271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090
270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544
269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807
268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714
267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523
266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246
265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6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