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1.15 01:44

유신의 추억

조회 수 7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유신의 추억

말의 원래 뜻은 전혀 다르지만 그 기능과 쓰임새가 같아서 비유 혹은 유추를 통해 유의어나 동의어처럼 쓰는 경우가 있다. 전혀 다른 의미의 ‘국가’와 ‘가족’을 유의어처럼 쓰거나 ‘하나님’과 ‘아버지’를 같은 반열로 유추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요즘 많은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걸리는 복합적인 사건들이 생기니까 정부는 시끄러운 논란을 피하자는 뜻에서 ‘국론분열’을 걱정하고 남북 긴장 상태에 ‘남남갈등’만 도드라진다고 분개하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는 이러한 인식에 뼈아픈 교훈을 남기고 있다.

중세 독일에서는 ‘부르크프리덴’(Burgfrieden)이라는 전통이 있었다. 보통 ‘성내평화’라고 번역한다. 적과 대치할 땐 사적인 다툼, 결투, 분규를 금한 것이다. 공동체의 당연한 규범이기도 하지만 악용도 됐다.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독일 황제는 러시아에 선전포고하면서 바로 이 전통에 근거하여 다수당인 야당이 반대하지 못하게 성내평화를 주장했다. 원래 전쟁을 반대했던 야당, 사회민주당은 그 논리에 넘어가 전쟁에 협조했다. 자신의 강령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의를, 러시아가 민중을 탄압한다는 빌미로, 또 황제의 성내평화라는 미끼를 물고, 저버린 것이다. 그리고 패전을 했다.

이 ‘성내평화’라는 단어는 1970년대 유신시대의 ‘국민총화’라는 말을 유추하게 한다. 국가 안보를 위해 이러쿵저러쿵하는 논쟁과 쟁점을 만들지 말자는 것이 당시 정부와 여당의 요구였다. 시대와 지역은 다르지만 그 정략적 유용함은 독일의 황제에게나 한국의 독재자에게나 마찬가지였다. 추구하는 이상이 다를 때는 공동의 이해관계일지라도 서로 의견이 다를 수 있고 다툴 수도 있다. 그럴수록 서로의 쟁점을 좁혀가는 언어적 민주주의를 활용해야 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유신의 추억이 아니라 유신의 교훈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86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54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0223
312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735
312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791
312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930
312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127
312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600
311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779
311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648
311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763
311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851
31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659
311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994
»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760
31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685
31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837
311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947
310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951
3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624
310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968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598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625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756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7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