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7 13:39

내레

조회 수 621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레

고장말

‘-레’는 앞에 연결된 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데, 주로 평안도·제주도에서 쓰인다. ‘-레’는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만 쓰인다는 점에서 표준어 ‘-가’에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조금 있으느꺼니 남자레 꼴을 한짐 지구 와서 하루밤만 자구 가갔다구 했디.” “십 넌 두구 한번두 씻딜 않구 지냈으느꺼니 그 냄새레 어떻갔소.”(<한국구전설화> 평북편·임석재) ‘-레’는 주어임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토 ‘-(이)라서’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라서>라>래>레)

평안 지역에서 ‘-가’ 대신 ‘-레’가 쓰인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제주 지역에서 ‘-레’가 쓰인다는 건 잘 알려지지 않았다. “내레 앙 갑니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레’가 평안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되는 것은 제주 쪽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두 지역 두루 ‘-레’가 ‘-래’로 실현되기도 하는데, 실제 말투에서 ‘-레’와 ‘-래’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레’의 또다른 형태는 ‘-라’인데, ‘-라’는 평안도와 가까운 황해 북부와 충남 태안·보령 등지에서 사용된다. “그 무이라(무가) 맛이 달디?” 다만, 충남 서해안 쪽에서는 자음 뒤에서 ‘-이라’가 쓰인다. “웬 일잉가아 허구 다아 볼 거 보구서 신방을 들어가 보닝깨, 아 워떤 눔이라 신부를 칼루 찔러서 방이 피가 잔뜩 있단 말여.”(위 책 충남편)

‘-라’ 또한 제주의 ‘-레’처럼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1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6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867
2950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82
2949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29
2948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88
»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18
294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82
2945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68
2944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26
2943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38
2942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5
2941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67
2940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50
29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7994
2938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1
2937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06
2936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41
293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39
2934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46
2933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64
2932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58
2931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62
2930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88
2929 바람의종 2008.11.01 7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