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26

거북

조회 수 668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북

짐승이름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불에 구워 먹으리라.” 가야노래 ‘구지가’다. 노래에서 거북은 김수로의 탄생과 관련된 영적 존재다. 그 지명을 구지봉이라 함도 관련이 깊다. 주몽의 고구려 건국 과정이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도 거북이 등장한다. 갑골점이라 하여 거북뼈로 점을 친다. 갑(甲)은 거북을 뜻하는 글자다. 토템 신앙 중개자로서 거북을 신성시한 것이다. 이규보의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이나 별주부전의 거북은 모두 그 영험을 의인화해 드러내는 얘기다.

옛말로 거북은 ‘거붑’이었다. 끝 음절 ‘붑’에서 같은 비읍 소리 충돌 현상으로 거붑이 거북으로 바뀐 것이다. 한자말 귀복(龜卜)에서 거복-거북이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거북 토템은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에 있었다. 양산 지방의 모심기 민요 가운데 왕거미 노래에서 거미가 거북이었음을 떠올릴 수 있다. 우리말 거미(거무)-검에서 그 원형을 찾음이 더 온당하다. 여기 검(감)은 임금으로 이어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가미(神)가 되고 거북을 가메(game)라 함을 보면, 한자 기원이란 설득력이 떨어진다. 최남선의 <신자전>에서 ‘검’을 신으로 풀이하고 있음 또한 한 방증이다. 동아리하자면, 거미(거무)의 검에 -음이 붙어 거뭄-거붑-거북이 된 것이다. <본초강목>에서는 거북의 수컷을 뱀으로 상정한다.

거북은 때로 남근 혹은 태양 숭배를 드러내기도 하는 상징성이 많은 짐승이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3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8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997
2972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50
2971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785
2970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47
»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688
2968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30
2967 바람의종 2008.09.06 5411
2966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75
2965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76
2964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09
296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680
2962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47
2961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65
2960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891
2959 바람의종 2008.09.19 7404
2958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592
2957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2
2956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48
2955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22
2954 바람의종 2008.09.26 5193
2953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66
2952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486
2951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