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3

집이 갔슴둥?

조회 수 684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이 갔슴둥?

고장말

‘-슴둥’은 표준어 ‘-습니까’에 대응하는 말로, 주로 함북 지역과 동포들이 많이 사는 만주 ‘계동·연길·화룡·훈춘’ 등지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어째 아이 먹슴둥?”(<눈물젖은 두만강> 최일홍·재중) “안녕했슴둥?”(<함북방언사전>) ‘-슴둥’의 또다른 형태는 ‘-슴두’다. “아반님, 밤새 알려하심두?”(<동해안 방언 연구> 황대화)

‘-슴둥’과 대응하는 말로는 경상도 ‘-는교’, 제주 ‘-수과’, 전라 ‘-습디여’, 평안·함경 ‘-습네까’, ‘-습데까’ 등을 들 수 있다. ‘-는교’는 ‘-는가요’가 변해 된 말, ‘-수과’는 ‘합쇼체’ 어미 ‘-수-’에 ‘-과’가 결합된 것이다. “누가 똥 묻은 엽전 한 닢이 기럽어서 변소 펄라 카는 줄 아는교?”(<불의 제전> 김원일) “아버지, 그 지게 무사 그디 내비염수과?”(<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네까’는 주로 평안 쪽에서 쓰이는데, 제주에서도 발견된다. “선생님은 어드렇게 해서 그런 보물을 구하섰습네까?(<한국구전설화> 평안편) 특히 ‘-습데까’는 ‘-슴둥’과 함께 주로 북녘에서만 발견되는 고장말로, 회상하며 물을 때 쓴다. “그리 오줌이 메랍데까?”(위 책), “지금 사과를 따고 있습데까?”(<남북한말 비교사전> 조재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4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135
2996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841
2995 쪼는 맛 바람의종 2010.07.25 11101
2994 짬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30 14030
2993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969
2992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475
2991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45
2990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945
2989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382
2988 짜장면과 오뎅 바람의종 2011.11.17 11269
2987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45
2986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6970
2985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03
298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481
»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41
2982 바람의종 2008.03.18 6598
2981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482
2980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18
2979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395
2978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234
2977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02
2976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6
2975 진정코 바람의종 2010.02.23 89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