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06 17:09

언어 분류

조회 수 13144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 분류

우리말을 세계 여러 언어들과 견줄 때, 흔히 알타이 말겨레에 딸린다기도 하고, 교착어에 든다기도 한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현재 지구상에서 쓰이는 수천 언어들은 똑같은 정도로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언어에 비해 더 비슷하거나 가까운 게 있어, 서로 가까운 것끼리 묶어 볼 수 있다. 말을 분류하는 기준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바탕을 두는 기준인데, 이를 유형론적 분류라 한다. 다음은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바탕을 두는 것인데, 이를 계통론적 나누기라고 한다. 언어의 유형론적 분류란 언어가 지니는 말소리, 낱말, 문장에 따라 같은 특징을 가진 언어들끼리 묶어서 나누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문장을 구성할 때 우리말처럼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놓이는 언어들이 있는가 하면, 영어처럼 목적어가 서술어 뒤에 놓이는 언어들이 있다. 이처럼 부려쓰는 말 차례에 따라서도 세계 여러 언어들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계통론적 분류란 그 언어의 뿌리가 어디에 있으며, 같은 뿌리에서 갈려 나온 언어에는 어떤 언어들이 있는지를 밝혀 나누는 방식이다. 이렇게 나누어 기원이 같은 언어들끼리 묶은 것을 말겨레(어족)라고 하는데, 흔히 알타이어족, 우랄어족, 인도유럽어족들이 그 보기다. 그렇다면 우리말은 알타이어족에 드는 언어일까? 그렇다고 알고 있는 이가 적잖은데, 아직은 단정 짓기 어려운 수준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5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0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15
2996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17
2995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08
2994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05
2993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680
2992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671
2991 스끼다시 바람의종 2008.02.16 12651
2990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643
2989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642
2988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603
2987 칠흑 같다 바람의종 2007.05.25 12596
2986 있으매와 있음에 바람의종 2011.01.30 12582
2985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74
2984 ‘ㄱ’과 ‘ㅂ’ 뒤의 된소리 바람의종 2010.05.17 12568
2983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559
2982 호나우두(Ronaldo)와 호날두(Ronaldo) 바람의종 2010.02.28 12558
2981 대수롭다 風磬 2006.11.06 12556
2980 눈꼬리와 눈초리 바람의종 2010.10.13 12542
2979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41
2978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41
2977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534
2976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533
2975 의사, 열사, 지사 바람의종 2010.07.12 125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