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50

"정한수" 떠놓고…

조회 수 12964 추천 수 18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한수" 떠놓고…

멀리 나간 가족을 위해, 군대 간 아들을 위해, 병이 난 가장을 위해 옛날 우리 어머니들은 꼭두새벽에 우물로 나가 정성스레 떠온 맑은 물로 천지신명께 치성을 드렸다. 이런 장면은 소설이나 노래 등에 많이 묘사되는데 대중가요 '전선야곡'에도 '정한수 떠다놓고 이 아들의 공 비는 어머님의 흰머리가 눈부시어 울었소'란 구절이 나온다. 이때의 '정한수'는 정화수(井華水)를 발음에 이끌려 잘못 쓴 것이다. 한약재 복령(茯)을 '봉양'으로 잘못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정화수는 새벽에 사람들이 긷기 전 처음으로 퍼 올린 우물물을 말한다. 이 물은 치성드릴 때만이 아니라 약을 달이거나 먹을 때도 쓴다. 우리 선조는 물을 수십 가지로 분류해서 썼다. 예를 들자면 정월에 처음 내린 빗물인 춘우수(春雨水), 가을철 이슬을 받은 추로수(秋露水),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감란수(甘爛水, 일명 百勞水), 순하게 흐르는 물인 순류수(順流水), 빨리 흐르는 여울물인 급류수(急流水), 황토로 만든 지장(地漿) 등을 용도에 따라 골라 사용했다. 이렇게 물의 종류를 나눠 용처를 달리한 옛 어른들의 발상이 재미있으면서도 놀랍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06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74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2199
3036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2959
3035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2950
3034 댕기풀이 風磬 2006.11.06 12935
3033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2930
3032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13
3031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00
3030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2900
302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891
3028 마는, 만은 바람의종 2010.10.11 12890
3027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2888
3026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2882
3025 눈꼬리 바람의종 2009.12.23 12877
3024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876
3023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2861
3022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861
3021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840
3020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36
3019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2827
3018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821
3017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19
3016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807
3015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7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