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34

총각김치

조회 수 8546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총각김치

'총각김치'에 왜 하필이면 '총각'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처녀김치'는 왜 없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다. 손가락 굵기만 한 어린 무를 잎과 줄기째 양념에 버무려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다. 이때의 어린 무를 '총각(總角)무' 또는 '알무' '알타리무'라 하는데, 1988년에 개정된 표준어 규정은 '알무' '알타리무'가 생명력을 잃었다고 해서 '총각무'로 쓰도록 했다.

옛날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것을 '총각(總角)'이라 했으며, 이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 불렀다고 한다. 총(總)은 '모두'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과거엔 '꿰맬 총' '상투 짤 총'으로도 사용됐다. 각(角)은 물론 뿔을 뜻한다. 한 줌 크기로 모아 잡아맨 미역을 '꼭지미역' 또는 '총각미역'이라 하는 걸 보면 '총각'이 동여맨 것을 지칭하는 건 분명하다. 따라서 어린 무가 '총각'이라는 머리 모양을 닮아 '총각무'가 됐고, 그것으로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라는 설명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어린 무의 모양이 남성의 그것을 닮았다는 점에서 위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옛 여인들이 '총각김치'를 담그면서 그런 잡담을 했으리라는 추측이다. 또 여자들이 김치를 담그기 때문에 '총각김치'만 있고 '처녀김치'가 없다는 것이다. 생각은 자유지만 '알타리무'는 '총각무'가 맞다는 것은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43
3084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65
3083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889
3082 추호도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3807
3081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29
3080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36
3079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157
3078 추석 바람의종 2010.08.07 11104
3077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273
3076 추리닝 바람의종 2009.08.01 6793
3075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279
3074 추격, 추적 바람의종 2010.10.18 11287
3073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9940
3072 총뿌리, 돌뿌리 바람의종 2009.12.23 11269
»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546
3070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17
3069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23
3068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32
3067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56
3066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12
3065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18
3064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576
3063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3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