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83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사라져가는 자기 말을 지키려는 두 젊은이를 소개한다. 토족말을 쓰는 챙고츠 양과 만주말을 지키는 스쥔광 군이다. 자기 겨레의 다른 젊은이와는 사뭇 다르게 지극한 모어 사랑을 바탕으로 사라져가는 자기말을 지키려는 이들의 마음은 말 조사 때 만난 글쓴이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챙고츠 양은 나이 스물셋인 토족(스스로는 ‘도르까’라 부른다) 젊은이다. 토족은 중국 칭하이성(청해성) 시닝시 근처에 사는 소수민족이다. 이곳 젊은이들 대부분은 중국말과 티베트말을 쓰며, 마을의 나이든 분들과는 달리 토족말(몽골어파에 드는 말인데, 그들은 ‘도르깨’라 한다)은 거의 모른다. 챙고츠 역시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중국말·티베트말로 배웠고, 일상생활에서 이 두 말을 유창하게 쓴다.

글쓴이는 짓궂은 질문으로 비칠까 두려워 챙고츠에게 조심스레 물었다. “중국말과 티베트말로 모든 생활을 할 수 있는데 왜 토족어를 그토록 애정을 가지고 쓰려고 하는가요?” 대답은 짧고 단호했다. “우리 겨레의 독특한 말이니까요.” “친구들은 어떤가요?” “우리말 하기를 꺼려요.” “친구들을 설득해 볼 생각은 없는가요?” “해도 소용이 없어요. 친구들은 전혀 관심이 없어요.”

이렇게 가다가는 자기 또래들이 나이 들게 되면 자기네 말이 저절로 사라질까 봐 걱정이란다. 그래서 골똘히 생각한다. 자기네 말을 널리 퍼뜨릴 좋은 방법이 없을까? 글자를 만들면 말을 더 잘 지킬 수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1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202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782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396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296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645
66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67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23
6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12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696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61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16
»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32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44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54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15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20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680
5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20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59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34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79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37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