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667 추천 수 5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옷걸이'가 좋으려면 키가 어느 정도여야 할까?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옷을 가장 잘 소화하는 이상적인 신장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남자 175㎝, 여자 165㎝ 이상은 돼야 태(態)가 난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여기엔 오류가 있다. '옷걸이'는 옷을 걸어 두도록 만든 물건을 가리키는 말로 "옷걸이가 좋다"고 하면 옷을 거는 기구가 나무랄 데 없어 만족한다는 뜻이 된다. 옷을 입은 맵시를 이르는 말은 '옷거리'로, 어떤 옷을 입어도 잘 어울린다고 할 때는 "옷거리가 좋다"고 해야 맞다.

 "욕조에 따뜻한 물을 받아 놓고 주름투성이의 양복을 옷걸이에 걸어 두면 수증기로 인해 주름이 펴진다" "길게 뻗은 팔다리와 고운 어깨선을 가진 사람을 보고 흔히 옷거리가 좋다고 말한다"처럼 그 의미를 구분해 써야 한다.

'옷거리'를 달리 '옷맵시'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두 낱말 모두 옷을 입었을 때의 어울림을 뜻하지만 쓰임새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옷거리'가 옷을 입은 사람의 신체 구조나 조건에 주안점을 둔 것이라면 '옷맵시'는 옷을 입었을 때의 전체적인 모양새나 태도에 초점을 맞춘 말이다.

 "다니엘 헤니는 옷거리가 늘씬해 어떤 옷을 걸쳐도 옷맵시가 난다" "하체를 길어 보이게 해 옷맵시를 살려 주는 키높이 구두가 남성들 사이에 인기다"와 같이 둘 다 옷이 잘 어울리는 모양새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미세한 의미 차를 염두에 두고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2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7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925
3302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177
3301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104
3300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078
329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72
3298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052
3297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006
3296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6933
3295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6917
3294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04
3293 망둥어, 망둑어 / 간재미, 간자미 바람의종 2010.05.30 16872
3292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856
3291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767
3290 나리 風磬 2006.10.10 16736
»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667
3288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666
3287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664
3286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614
3285 재다, 메우다, 메기다 바람의종 2010.04.25 16608
3284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589
3283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579
328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552
328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