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48

돌서덕

조회 수 948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서덕

‘돌서덕’은 ‘돌이 많은 강이나 내의 바닥’을 말한다.

“맑은 물이 은은한 진폭을 울리며 흐르다가도 어느 한 곳에 와서 꿀룩꿀룩 돌서덕에 숨어 버린다.”(리병수, 〈붉은 지평선〉)

돌서덕과 비슷한 말로 남녘에서는 ‘서덜’을 쓴다. 서덜은 ‘냇가나 강가에 돌이 많은 곳’을 말하므로 강바닥을 뜻하는 돌서덕과 약간 위치가 다르다. 북녘에서도 서덜을 쓰는데, 강이나 내의 바닥을 포함한 ‘돌이 많이 깔린 곳’을 모두 가리키므로 돌서덕보다 넓은 뜻이다.

“전날에는 흔히 큰물이 밀려내려 여기의 모래논은 서덜로 변했다.”(조선말대사전)

여름에 홍수가 난 논에서 물이 빠지면 논에는 돌·자갈이 많이 남는다. 이런 곳을 서덜이라고 한다. 또 남북에서는 각각의 서덜과 같은 뜻으로 ‘돌서덜’을 쓴다. 남북이 모두 서덜·돌서덜을 쓰는데 그 뜻이 조금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1950년 발행된 〈큰사전〉을 보면, 남녘에서 쓰는 뜻으로 서덜이 있고, 돌서덜과 돌서덕은 없다. 그렇다면 아마도 남북에서 두 낱말을 같은 뜻으로 쓰다가, 북녘에서는 돌서덕이 쓰이게 되면서 기존 서덜의 뜻을 돌서덕이 맡고, 서덜은 그 뜻이 원래보다 좀 확장된 듯하다. 북녘말 서덜은 그 뜻이 넓어지면서 ‘돌바닥’과 비슷한 말이 되었다.

돌이 많은 산비탈을 너덜·너덜겅·돌너덜이라고 하는데, 그러고 보면 서덜·너덜은 곳에 따라 차이가 날 뿐 돌과 관계가 있는 것은 한가지라 하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5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0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22
3260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544
3259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451
»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483
3257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269
3256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625
325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799
3254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769
3253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285
3252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467
325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865
3250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077
3249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734
3248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298
3247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036
3246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486
3245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496
3244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7941
3243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42
324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089
3241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741
3240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45
3239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5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