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03 02:17

뒷담화

조회 수 8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뒷담화

  20세기 어느 날 어느 곳에서 열린 ‘전국 민속놀이 경연대회’ 중계방송 때 생긴 일이다. 땅 위에서 펼쳐지는 민속놀이를 보여주던 카메라가 하늘을 비추었다. 흰 구름을 배경으로 온갖 연들이 휘영청 떠 있는 장면이 나오자 아나운서의 설명이 이어졌다. “다양한 연들이 하늘을 수놓고 있습니다. 멋진 문양의 방패연과 가오리연, 그리고 그 뒤에는 ‘쌍연’이 날고 있습니다.” 쌍룡(용 두 마리), 쌍알(노른자가 두 개 있는 달걀)처럼 ‘둘씩 짝을 이룬 것’을 ‘쌍-’이라 하니 나란히 붙어 나는 연 두개를 그렇게 표현한 것인데 하필 발음이 [쌍년]이었다. 시청자 항의가 없지 않았던 그때, 뒷감당을 어찌 했는지 뒷얘기는 듣지 못했다.

    지난 주말 방송 뉴스에 ‘뒷담화’가 등장했다. ‘사실로 믿고 한 뒷담화, 명예훼손 해당 안 된다’는 기사이다. 관련 자료를 찾아보니 ‘직장 내 뒷담화 명예훼손’, ‘상사 비리 뒷담화’처럼 ‘뒷담화’를 제목에 올린 곳이 대부분이었다. ‘비리를 저질렀다고 험담을 한 혐의’(ㅅ경제신문), ‘사실로 믿은 험담 명예훼손 아니다’(ㅈ일보)처럼 ‘험담’으로 다룬 매체는 별로 없었다. 국립국어원은 ‘뒷담화’를 두고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아서 표준어로 보기 어렵다” 했다.(온라인 가나다, 2011년 2월)

‘뒷담화’는 '뒷다마'라는 말이 일본어에서 온 것이고 비속한 느낌이 강해 ‘-다마’ 대신 발음이 비슷한 ‘담화’를 붙여 만든 말로 본다.(<한겨레> 2006년 8월24일치) ‘정론지’나 ‘공영방송’에서 쓰기에는 격이 낮은 ‘뒷담화[뒫땀화]’는 ‘뒷다마[뒫따마]’처럼 잘못 발음하거나 달리 들릴 수 있다. ‘쌍연[쌍년]’처럼 방송매체에서는 특히 가려 써야 할 표현인 것이다. <우리말 나들이>가 2011년 초 방송에서 “비속어인 ‘뒷담화’는 ‘뒷말’이나 ‘뒷소리’로 다듬어 쓰자” 한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56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21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6997
3012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616
3011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486
3010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511
3009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452
3008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1848
3007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642
» 뒷담화 風文 2020.05.03 889
3005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250
3004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814
3003 지슬 風文 2020.04.29 1270
3002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278
300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166
3000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023
2999 휘거 風文 2014.12.05 24611
2998 CCTV 윤안젤로 2013.05.13 27642
2997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706
2996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018
2995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591
2994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661
2993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5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