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9

도우미

조회 수 811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우미

2년 전쯤이다. 인기가 높은 한 방송극에서 여주인공이 ‘헬퍼’라는 직업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도우미’라는 우리말이 ‘헬퍼’에 자리를 빼앗기지는 않을까 걱정한 적이 있다. 극작가로서는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르겠지만 ‘(가사) 도우미’라는 좋은 말이 있는데 하필 보편화되지도 않은 ‘(리빙) 헬퍼’라는 말을 썼을까 하는 아쉬움이 더했다. 드라마 영향만은 아니겠지만 결국 ‘헬퍼’라는 말은 ‘가정부, (가사) 도우미’ 등으로 불리던 직업의 또다른 말로 자리를 잡고 말았다.

우리말보다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는 막연한 인식 탓에 외래어 새말이 우리말을 밀어내는 사례가 많다. 백화점에 ‘목도리 매장’은 없고 ‘머플러 코너’가 있다. 회의를 할 때 명단과 일정을 점검하기도 하지만 ‘미팅을 세팅할 때 리스트와 스케줄을 체크’하기도 한다.

외래어 새말이 큰 세력을 얻지 못하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라이프가드’(life guard)보다는 ‘안전 요원’이 훨씬 많이 쓰이고, ‘데빗카드’(debit card)보다는 ‘직불카드’가 익숙하다. 이렇게 새로 들어온 외래어보다 우리말이 쉽고 간단할 때는 호락호락 자리를 빼앗기지 않는다. 이미 쓰던 말이 있는데 비슷한 의미의 새말이 생기면 기존의 말과 경쟁 관계에 놓인다. ‘베이비시터’, ‘실버시터’와 자리를 다투는 ‘아이 돌보미, 경로도우미’ 등의 새말들이 널리 자리잡기 바란다. 말은 가려쓰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따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9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4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493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776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377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288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635
66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63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23
»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12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687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48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15
6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26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33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48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15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20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667
5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13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49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32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79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31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1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