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785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53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18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6699
176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041
175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199
174 라틴말의 후예 바람의종 2008.02.03 6792
»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7859
172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7960
171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580
170 아프리카의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02 8739
16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857
168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08.02.01 7338
167 무릎노리 바람의종 2008.02.01 8598
166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268
165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634
164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696
163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6800
162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345
161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114
160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076
159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030
158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195
157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326
156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574
155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