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6 11:01

이름 부르기

조회 수 724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름 부르기

명함 주고받기가 만남의 의례로 굳어진 지도 제법 된 성싶다. 아는 이도 신상·연락처 변동이 있다며 명함을 준다. 이름에 하는 일, 직장·직책, 전화번호·전자우편·주소가 곁들인다. 전자명함도 유행이다. ‘이름’(성명)이 사람에 버금가는 존재가 된 셈이다. 이름은 지칭·호칭으로 두루 쓰인다. 사람을 부르는 방식에는, 성과 이름 따로 부를 때, 성명을 아울러 부를 때 등 셋이 있고, 어이·야·여보 … 따위로 부르기도 한다.

“홍길동·길동·홍, 홍길동씨·길동씨·홍씨, 홍길동 과장님·(길동 과장님)·홍 과장님, 홍길동 선생님·(길동 선생님)·홍 선생님.”

아이들 기준으로는 이름만 부르는 게 제일 자연스럽다. 부름토 ‘아/야’나 ‘이’는 이름만 떼어 부를 때 붙인다. ‘씨’를 붙여 직접 사람을 부를 때는 맞먹는 사이나 아랫사람이 아니면 어울리지 않는다. 성만으로는 부름말이 못되고, ‘씨’를 붙여도 낮잡는 느낌을 주므로 삼가야 한다. 성만 쓸 때는 직함·존칭을 넣어 불러야 한다. 성만 쓰는 방식은 서양식이다. 제3자를 일컬을 때나 글에서는 성에 씨를 붙인 말도 가끔 쓰기는 한다. 부장님·선생님은 ‘성명·성’과 어울리고 ‘이름+직함, 이름+존칭’은 어울리지 않는다.

지난 세기 이전에는 이름 대신 자(字)나 호(號), 택호를 지어 불렀다. ‘씨’(氏)는 20세기 이전에는 쓰이지 않던 혹 같은 존재로, 소리도 뜻도 재미가 없다. 이를 대체할 좋은 말이 ‘님’이다. 아무튼 평생 이름 하나로 불리는 시대가 됐으니 이름을 잘 짓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97
312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739
311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07
31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599
309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878
308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800
307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459
306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29
305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267
304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12
303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597
302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823
301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290
300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433
299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177
298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539
297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790
296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518
295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112
294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531
293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786
292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13
291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6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