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5

진고개와 긴고개

조회 수 744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고개와 긴고개

얼마 전 독자 한 분이 전화를 주셨다. 그분의 말씀은 서울 중구의 ‘이현’(泥峴)이 ‘진고개’인데, 이 고개 이름은 ‘길다’에서 온 말 아니냐는 말씀이었다. 땅이름 변화 과정에서 우리말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박형상 변호사님 말처럼 ‘진고개’는 질척질척한 ‘진흙’(泥) 고개가 아니라 ‘기다랗다’는 ‘긴 고개’에서 온 말이다. 우리말에서 ‘ㄱ’이 ‘ㅈ’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기름’이 ‘지름’으로, ‘길’이 ‘질’로, ‘깁다’가 ‘집다’ 따위로 소리난다. 전남 장흥의 ‘이동’(泥洞)이 ‘진골, 진골목’으로 불리는 것이나 강원도의 여러 ‘진부령’이 구불구불한 긴 고개를 뜻하는 것은 ‘길다’가 ‘질다’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처럼 사람이 지나는 길이나 고개·섬 등에 ‘길다’가 붙어 형성된 땅이름은 숱하다. 전남 영암의 ‘진섬’은 ‘긴섬’이다. 이 섬은 ‘지네섬’이라고 불린 적도 있는데, ‘길다’의 다른 형태일 뿐이지 동물인 ‘지네’와는 상관이 없다. 작은 마을을 뜻하는 ‘지단말’이나 ‘지뎀말’ 등도 ‘길다’의 고장말인 ‘지다랗다’, ‘지뎀하다’가 붙어 형성된 이름들이다. ‘지다랗다’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말이며, ‘지뎀하다’ 또는 ‘지덴하다’는 최학근의 <전라남도방언연구>(1962)에 나타나듯이 전라 방언이다.

이처럼 땅이름의 이형태를 살피면 우리말 땅이름이 한자말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의미가 엉뚱한 말로 변한 것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2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7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943
3192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35
3191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781
3190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19
3189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43
3188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579
3187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33
3186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6939
3185 바람의종 2008.03.18 6597
3184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199
3183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278
»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47
3181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661
3180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25
3179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01
3178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7962
3177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661
3176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365
3175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65
3174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53
3173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04
3172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48
3171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4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