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1 15:47

애기똥풀

조회 수 605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기똥풀

풀꽃이름에 ‘똥/오줌’이 붙는 것은 좀 심하다 싶지만, ‘애기똥풀’은 줄기를 꺾으면 노란색 젖 같은 액즙이 나오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또한 오뉴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 꽃잎 넉 장이 붙어 있는 작은 꽃모양도 예쁘게 싸 놓은 애기똥을 연상시킨다. ‘젖풀/ 씨아똥/ 까치다리’라고도 부른다.

한자말로는 ‘백굴채’(白屈菜)라고 하여 배가 아플 때 진통제로 쓰거나 짓무른 살갗에 발랐는데, 시골에서 자란 사람은 젖풀을 바르면 사마귀가 줄어든다는 말도 들어봤을 것이다. 요즘 들어 음식이나 새집증후군 따위 갖가지 환경문제로 말미암아 ‘아토피’란 병증이 극성을 부리는데, 이 풀이 치료재로 환영을 받고 있다고 한다. 애기들의 아토피를 치료하는 데 이 풀이 긴요하게 쓰이는 것을 보면 이름을 붙인 옛 어른들이 선견지명이 있는 것도 같다.

시골 동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꽃이지만 우리가 관심도 없던 풀꽃이어서 동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풀이름이다. 시 소재로도 흔히 쓰인다. “‘나 서른다섯 될 때까지/ 애기똥풀 모르고 살았지요/ 해마다 어김없이 봄날 돌아올 때마다/ 그들은 내 얼굴 쳐다보았을 텐데요.”(안도현 ‘애기똥풀’) 하찮은 것 같아도 당당하다고 노래한다. “시궁창 물가에 서서도/ 앙증스레 꽃 피워 문/ 애기똥풀 보아라/ 어디 연꽃만이 연꽃이겠느냐.”(복효근 ‘애기똥풀꽃’) 그렇다. 장미나 백합만 꽃이 아니고, 애기똥풀이나 할미꽃의 아름다움마저 깨닫게 되는 것이 철들고 나이 드는 것의 소중함 아닐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애기똥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5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0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07
3238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641
3237 굿 바람의종 2008.02.17 7897
3236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930
3235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474
3234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609
3233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10
3232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147
3231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166
3230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7937
3229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28
3228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566
»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053
3226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711
3225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257
3224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059
3223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461
3222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743
3221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195
3220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329
3219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054
3218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768
3217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3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