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8.20 01:42

계집과 여자, 끝

조회 수 11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계집과 여자

습관은 무섭다. 한자 ‘女’를 ‘계집 녀’라고 배워서 아직도 이 글자를 보면 ‘계집’이란 말이 튀어나온다. 초등학생용 한자책을 보니 이제는 ‘여자 녀’로 바뀌었다(‘어미 모’, ‘아비 부’도 ‘어머니 모’, ‘아버지 부’로 바뀌었고, ‘지아비 부’도 ‘남편 부’라 한다). ‘계집’을 ‘여자’로 바꾼다고 성차별이 해결되는 건 아니지만,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 차별 극복 의지 정도는 보여준다. 배제가 아닌 평등의 뜻풀이가 필요한 이유이다.

말 나온 김에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에 ‘계집’이란 말이 들어간 단어를 찾아보았다. 사전 만들 당시 성차별에 대한 감각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 ‘노비: 사내종과 계집종’, ‘더벅머리: 웃음과 몸을 팔던 계집’, ‘뜬색시: 바람난 계집’, ‘민며느리: 며느리로 삼으려고 관례를 하기 전에 데려다 기르는 계집아이’, ‘본서방: 샛서방이 있는 계집의 본디 남편’, ‘여우: 하는 짓이 깜찍하고 영악한 계집아이’, ‘요부: 요사스러운 계집’. 세상은 바뀌는 데 사전은 제자리걸음이다. 모두 ‘여자’로 바꾸면 훨씬 현대적(!)이다.

‘사내’도 마찬가지라고 하겠지만, 엄연히 둘은 위계가 다르다. ‘사내’는 “‘남자’나 ‘남편’을 이르는 말”이지만, ‘계집’은 “‘여자’나 ‘아내’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낮잡아 본다’는 것은 시선의 높낮이가 있다는 뜻일 텐데, 그 차이를 줄이는 게 말의 진보다(‘사내’도 ‘남자’로 바꾸는 게 낫다).




우리는 시간 속에서 살지만 시간을 감각할 수는 없다. 감각할 수 없으면서도 알고 싶으니 눈에 보이는 걸 빌려다가 쓴다. 시간을 움직이는 사물로 비유하는 게 제일 흔한 방법이다. 하루가 ‘가고’, 내일이 ‘다가오고’, 봄날은 ‘지나가고’, 시간은 ‘흐르고’, 휴가를 ‘보낸다’는 식이다.

공간을 뜻하던 말을 시간에 끌어와 쓰기도 한다. 그중 하나가 ‘끝’이다. 애초에 ‘끝’은 ‘칼끝’, ‘손끝’처럼 물건의 맨 마지막 부분을 나타낸다. 영화를 끝까지 보거나 책을 끝까지 읽는다고 할 때도 영화나 책의 맨 나중 위치를 말한다. 조용필이 항상 맨 마지막에 나오는 것은 ‘끝’을 어떤 일의 클라이맥스로 여기는 우리의 성향을 반영한다. ‘오랜 수련 끝에 달인의 경지에 오르다’나 ‘고생 끝에 낙이 온다’처럼 ‘끝’이 앞일과 뒷일을 잇는 ‘문지방’ 구실을 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최초(원조)만큼이나 ‘최종’에 대해서 궁금해한다. 시간에 처음과 끝이 있을 리 없지만, 사건에는 처음과 끝이 있다. 입학식과 졸업식을 거창하게 치르듯이 과정보다는 처음과 끝을 중심으로 기억한다. 개인이 사건과 역사라는 말 위에 올라타면 마른 나뭇가지처럼 삶은 ‘시작’과 ‘끝’의 연속으로 또각또각 끊어진다. 생로병사의 외줄을 타는 인간은 특히 ‘끝’에 주목한다. 죽음의 방식을 삶의 성패로 여긴다. 종료의 의미로 ‘끝이 나다’라고 하는데, 싹이 나고 털이 나듯이 끝도 ‘난다(!)’. ‘끝’을 ‘없던 것의 생성’으로 보는 것이다. 보통은 생의 끝이 불현듯 다가오는데, 누구는 의지적으로 끝을 냈다. 삶, 정말 모를 일이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2856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7542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190181
    read more
  4. 생각보다, 효녀 노릇

    Date2022.09.02 By風文 Views686
    Read More
  5.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Date2022.09.01 By風文 Views594
    Read More
  6.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Date2022.08.30 By風文 Views582
    Read More
  7.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Date2022.08.29 By風文 Views616
    Read More
  8.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Date2022.08.28 By風文 Views691
    Read More
  9.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Date2022.08.27 By風文 Views532
    Read More
  10.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Date2022.08.23 By風文 Views640
    Read More
  11.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601
    Read More
  12.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Date2022.08.21 By風文 Views862
    Read More
  13. 계집과 여자, 끝

    Date2022.08.20 By風文 Views1132
    Read More
  14.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Date2022.08.19 By風文 Views635
    Read More
  15.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Date2022.08.18 By風文 Views521
    Read More
  16. 인기척, 허하다

    Date2022.08.17 By風文 Views911
    Read More
  17. 사과의 법칙, ‘5·18’이라는 말

    Date2022.08.16 By風文 Views521
    Read More
  18.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Date2022.08.15 By風文 Views539
    Read More
  19.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Date2022.08.14 By風文 Views758
    Read More
  20.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Date2022.08.12 By風文 Views764
    Read More
  21. 이단, 공교롭다

    Date2022.08.07 By風文 Views763
    Read More
  22.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Date2022.08.06 By風文 Views769
    Read More
  23.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Date2022.08.05 By風文 Views580
    Read More
  24.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532
    Read More
  25.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Date2022.08.03 By風文 Views85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