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1 09:58

돕다와 거들다

조회 수 646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돕다와 거들다

‘돕다’와 ‘거들다’ 같은 말도 요즘은 거의 뜻 가림을 하지 않고 뒤죽박죽으로 쓰인다. 국어사전들이 ‘돕다’를 찾으면 거드는 것이라 하고 ‘거들다’를 찾으면 돕는 것이라고 하니까 이런 뒤죽박죽이 바로잡힐 길조차 없다. 이들 두 낱말은 서로 비슷한 뜻을 지녀서 얼마쯤 겹치는 구석이 있지만 여러 가지 잣대에서 쓰임새와 뜻이 사뭇 다르다.

우선 ‘돕다’는 사람에 쓰이는 낱말이고 ‘거들다’는 일에 쓰이는 낱말이다. 사람을 돕고 일을 거든다고 하면 쓰임새가 옳지만 일을 돕고 사람을 거든다고 하면 쓰임새가 틀렸다. 또 ‘돕다’는 몸과 마음으로 주는데, ‘거들다’는 몸으로만 주는 것이다. 돕는 것은 지니고 가진 것을 모두 다해서 주지만 거드는 것은 몸에서 나오는 힘으로만 주는 것이다. 그래서 ‘돕다’는 주고받는 것이지만 ‘거들다’는 주기만 하는 것이기도 하다. 돕는 것은 두고 보면 주는 쪽이나 받는 쪽이나 서로 도움이 되기 마련이지만 거드는 것은 주는 쪽에서는 주기만 하고 받는 쪽에서는 받기만 하면 그만이다. 넷째로 ‘돕다’는 주는 쪽에서 열쇠를 쥐고 있지만 ‘거들다’는 받는 쪽에서 열쇠를 쥐고 있다. 돕는 것은 받는 쪽에서 달라니까 주는 것이 아니라 주는 쪽에서 주려고 해서 주는 것이고, 거드는 것은 주는 쪽에서 주려고 해서 주는 것이 아니라 받는 쪽에서 달라니까 주는 것이다. 그래서 ‘돕다’는 언제나 어디서나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열려 있지만 ‘거들다’는 지금 벌어진 일에 갇혀서 주고 나면 끝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2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7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934
3258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544
3257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451
3256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477
3255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265
3254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625
3253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793
3252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765
3251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275
»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467
3249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860
3248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075
3247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734
3246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298
3245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036
3244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484
3243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492
3242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7938
3241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35
3240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083
323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730
3238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40
3237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