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7 20:22

복수 표준어

조회 수 707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수 표준어

사투리이던 ‘멍게’를 ‘우렁쉥이’와 함께 표준어로 선정한 것은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표준어규정 23항)는 규정에 말미암는다. 또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24항)는 규정에 따라 ‘귀밑머리’를 표준말로 삼고 ‘귓머리’를 버렸다. 이처럼 표준어 규정은 많이 쓰이는 말을 표준어로 삼는 규정을 두고 있다.

표준어 규정에는 ‘복수 표준어’를 둘 수 있게 했다. 비슷한 형태를 모두 다 표준말로 인정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도 방언이 복수 표준어로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부사 ‘얼렁뚱땅’과 ‘엄벙뗑’, 그 동사인 ‘얼렁뚱땅하다’와 ‘엄벙뗑하다’도 복수 표준어다. 문학 작품에 많이 쓰이는 ‘엄벙뗑하다’를 표준말로 삼은 것이다. ‘옥수수’도 사투리로 쓰이던 ‘강냉이’를 함께 표준어로 삼았다.

그런가 하면 ‘단수 표준어’ 규정에서는 방언을 버리고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다. ‘국물’을 표준어로 삼고 전국적으로 많이 쓰이는 ‘멀국, 말국’은 버렸다. 그 규정이 들쭉날쭉이다.

표준어 규정을 개정할 때, 복수 표준어를 확대하여 지역에서 많이 쓰이는 고장말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국민이 다양한 어휘를 골라 쓸 수 있도록 선택할 여지를 열어줘야 한다. 1988년에 제정된 표준어 규정을 정보화 시대에 걸맞으면서 지역 문화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하루빨리 손질하기 바란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4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118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772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373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285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632
66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53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09
6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09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681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44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10
6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819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322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41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10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15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662
5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11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35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27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872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31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1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