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11

선과 청혼

조회 수 6533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선과 청혼

청혼·혼인은 선택·모험이자 새삶을 여는 일이다. 책임이 따르면서 집안과 사회가 이를 우둔다. 조혼에다 번잡한 ‘육례’(六禮)를 찾던 시절엔 집안끼리 중신아비를 넣고서도 문서로 ‘허혼’한 일을 서로 감사하며 ‘사성’(四星)과 인사장이 오갔다. 허례허식 또는 겉치레가 아름다울 수 있는 법은, 옷과 같아서 통째로 벗어 던지면 남는 게 알몸과 다를바 없는 까닭이다.

전날 ‘선’은 사랑마당이나 울밖 먼발치에서 겉모습만 훔쳐 보는 정도였다. 임자와 어버이들이 얼굴을 맞대어 무게를 달고 허세를 부리기도 하는 게 요즘 맞선에 면접이다. 선이란 늘 보고 보이는 일이어서 설렘과 부끄러움이 함께하는데, ‘첫선’이란 말은 많은 것을 상품화한다.

그 이름이 갖가지인 만큼 중신어미(중매쟁이·중신아비·매파·여쾌·매온·뚜쟁이 …) 일은 예와 지금이 따로 없다. 디노블·앙세·듀오·커플라인 …들 낯간지러운 이름으로 선남선녀를 끌어대 성업을 이룬다니. 휴대전화·인터넷 소통이 별난데도 인연은 제대로 닿지 않는다는 얘기다.

남자가 청혼하는 말인즉 ‘같이 살자’인데, 썩 사사로운 일이어서 굳이 실체까지 들출 것은 없겠다. 하지만 사성(별넷)을 보내어 청혼하던 내림을 따른다면 그럴싸한 말이 없는 것도 아니다. “우리 별님이 되어주오. 시키기만 하면 해도 달도 따다 드리리다!” 약간의 허풍은 양념이다.

인지가 높어져선지 사주(해·달·날·때)는 타고난다고 여기는 사람도 드물어졌고, 그 흔하던 ‘팔자 타령’도 듣기 어려워졌다. 그렇다고 사람들이 ‘행복’과 가까워 보이지는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63
317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17
3171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385
3170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655
316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851
3168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956
3167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657
3166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42
316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790
3164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6981
3163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862
31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076
3161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988
3160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08
3159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140
3158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03
3157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670
»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33
3155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085
315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188
3153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254
3152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48
315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