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96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한 바람’만인가?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기상예보는 바람이 불었다 하면 “강한 바람”이 불겠다고 한다. 그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바람이 어떻게 불면 ‘강하게’ 부는 것인가? 토박이말이라면 바람이 ‘잔잔하게’ ‘산들산들’ ‘선들선들’ ‘간들간들’, ‘건들건들’, ‘세게’, ‘세차게’, ‘거세게’ ‘거칠게’ ‘매섭게’, ‘모질게’ 불겠다고 예보할 수 있다.

바람은 불어오는 쪽에 따라 ‘샛바람·가새바람·된새바람·강쇠바람’이 있고, ‘마파람·갈마파람·된마파람’도 있고, ‘가수알바람·하늬바람·높하늬바람’도 있고, ‘높새바람·뒤바람·막새바람’도 있고, ‘앞바람·옆바람·윗바람·아랫바람·산바람·골바람·들바람·벌바람·왜바람’도 있다.

불어오는 모습에 따라 ‘산들바람·선들바람·간들바람·건들바람·비바람·고추바람·꽃바람·꽃샘바람·눈바람·늦바람·된바람·매운바람·실바람·서릿바람·소소리바람·손돌바람·황소바람’이 있고, ‘용수바람·회오리바람·돌개바람’까지 있다.

‘강한 바람’이라는 소리는 한자말 ‘강풍’이 있으니 그렇다고 하자. 그러나 “강한 비가 내리겠다”, “강한 구름이 몰려온다” 하다가 지난 겨울에는 “강한 눈이 오겠다”까지 했다. 우리말 씀씀이가 어쩌다 이처럼 무뎌지고 말았을까? 말이 무뎌진 것은 느낌과 생각과 뜻이 무뎌진 것이다. 아해 다르고 어해 다른 우리 토박이말을 살려서 우리의 느낌과 생각과 뜻을 살려야 한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5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0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01
18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12
179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238
178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991
177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279
176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56
175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6
174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3
17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02
172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26
17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954
170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32
169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179
168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36
167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46
166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45
16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23
164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34
163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351
162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15
161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33
160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891
159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