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43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빼또칼’과 ‘총대가정’

어렸을 때 연필을 깎기 위하여 칼집이 있는 칼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일이 생각난다. 북녘에서는 주머니칼을 ‘빼또칼’이라는 생소한 이름으로 부른다. 문학작품에서는 “외진 데를 찾아서 두 필의 말을 끌고 가는 봉길이는 밋밋하게 비탈진 산언저리에 이르러 맞춤한 새초밭을 찾아냈다. 마른 풀을 뜯어 먹게 말들을 놓아 준 봉길이는 호주머니에서 칼집이 달린 빼또칼을 꺼내들고 새초를 베기 시작하였다. 말먹이 새초를 새로 마련함으로써 자기가 결코 어린애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배심이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9쪽)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이 경우 ‘맞춤한’은 ‘알맞은’의 뜻이고, ‘새초밭’은 ‘풀이 새로 난 풀밭’이라는 뜻이다.

북녘에는 ‘총대가정’이라는 가정이 있다. 이는 “가족 전체 또는 부자나 형제, 남매가 군에 입대하여 복무하는 등 일가족 모두가 총대를 메고 나선 가정”이다. 북녘 신문에는 “이제 머지않아 우리 집의 막내딸도 초소로 떠나게 된다. 그러면 우리 가정도 총대가정으로 된다. 총대가정, 이 영예롭고 성스러운 부름 앞에 언제나 떳떳하게 살고 싶은 것이 자식들을 초소에 내세운 우리 부모들의 심정이다.”(<로동신문> 2002년 3월1일치) 등으로 쓰인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34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02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4918
325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838
3255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197
3254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311
3253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458
325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861
3251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7905
3250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765
3249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544
3248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719
324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564
3246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670
324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645
3244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11
3243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741
324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873
3241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8655
3240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755
»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437
3238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985
323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753
3236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5
3235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9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