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30 09:42

프로듀사

조회 수 15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프로듀사

드라마 ‘프로듀사’를 보는 것은 주말 저녁의 큰 기쁨이었다. 김수현의 매력에도 푹 빠졌지만 방송을 하는 사람으로서 내 생활의 일부가 드라마로 나오는 것이 무척 신기했다. 익숙한 장소, 누구인지 대충 짐작이 가는 극중 배역, 아찔했던 방송 현장의 사고들. 그런데 왜 ‘프로듀서’가 아니고 ‘프로듀사’였을까?

방송의 연출, 제작을 책임지는 사람을 ‘프로듀서’라고 한다. ‘생산하다’는 뜻을 가진 동사 ‘produce’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er’이 붙어서 만들어진 말이다. 그런데 ‘-er’대신에 직업을 나타내는 우리말 접미사 ‘-사(士)’를 붙여 ‘프로듀사’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것이다. 제목을 살짝 비튼 데에는 프로듀서의 깊은 고민이 있었으리라.

흔히 끝에 ‘선비 사(士)’가 붙으면 직업을 나타내는 말이 된다. 변호사(辯護士), 건축사(建築士), 세무사(稅務士) 등이 그러하다. 그런데 판사(判事), 검사(檢事)의 ‘사’는 ‘일 사(事)’이다. 교사(敎師), 의사(醫師)는 ‘스승 사(師)’를 쓴다. 명확하게 어떤 기준인지는 밝히기가 어렵다. 자격증이나 면허증이 나오는 전문적인 직업에는 ‘-사(士)’가 붙는 경향이 있다. ‘변호’라는 말 뒤에 접미사 ‘사(士)’가 붙어 ‘변호사’가 만들어진 것이다. ‘판사’ ‘검사’도 전문직임에 틀림없으나 변호사와 같은 파생어가 아니라 ‘판사’ ‘검사’가 원어로 하여 쓰여 온 말이다. ‘의사’ ‘교사’ 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아나운서들은 예전부터 스스로를 ‘언어운사(言語運士)’라 칭하며 말에 대한 책임을 강조해 왔다. ‘프로듀사’ 후속작 ‘아나운사’를 기대해 보며….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63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260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396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194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484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066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397
3342 망신 風文 2023.06.09 1458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364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217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157
»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528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176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363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229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180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197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357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161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219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098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50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3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